earticle

논문검색

AI 로봇과 비인간 역할의 역설 - 영국 드라마 < Humans >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I and the Paradox of the Non-Person as Seen in 'Humans'

추미선, 유승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offman, channeling Shakespeare, explains social life as being composed of individuals upon a stage and carrying out their actions upon it. On this stage of society, an actor plays and acts out the roles expected of him, and such expressions of the self must also match the stage. Thus, the roles of individuals can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and wants of society as well as the reality faced by others. Likewise, individuals interact with each other as actors and spectators on the "stage of society." Within such a framework, there exists a group of people who perform 'particular and unusual roles', according to Goffman's theory. These are ‘non-person roles', referring to those separate from the actor or audience, despite participation in the interac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 of conflict in modern society caused by those carrying out such non-person roles existing in our society, which are being replaced by AI due to developments and advances of technology.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the non-person roles that robots are able to perform in our life, focusing on the "servant framing". We observe how a robot performs a 'non-person role' in human life through the TV show 'Humans' which is a 'thought experiment' that presents the conflict between the modern and post-human perspective toward robots. It also portrays the conflicts between those who consider the robot as a servant and those who see it as an object of admiration on the TV show. The findings here suggest why robots become an object of admiration despite performing the role of a servant, providing directions and instructions regarding our attitudes so as to more capably avoid conflicts in the coming future society. It focuses particularly on how robots engage with humans when robots intervene in human emotions and carry out non-person roles as described above.

한국어

고프먼은 사회와 개인을 무대와 무대에서 연기하는 연기자로 비유하여 설명한다. 사회라는 무대에서 연기자인 개인은 기대되는 역할을 연기하고 자아의 표현도 무대에 맞게 요구되므로 개인의 자아와 사회가 맺는 그 관계성은 긴밀하다. 이처럼 사회라는 무대에서 개인은 상황에 따라 연기자와 관객이 되어 상호작용한다. 그런데 고프먼 이론에는 인간이면서도 인간이 아닌 ‘특별하고 예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인간이 있다. 상호작용에 참여할지라도 연기자나 관객역도 맡지 않는 ‘비인간(non-person)역할’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비인간 역할이 기술의 발전으로 기계와 로봇으로 대체되면서 생기는 새로운 사회의 갈등 양상을 살펴본다. 특히 로봇이 우리가 사는 세상에 존재하면서 수행하게 되는 비인간 역할을 어빙 고프먼의 하인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로봇이 현대사회에서 비인간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펼쳐지는 상황은 어떤 것일까? 본 연구에서는 영국드라마 를 사례로 삼아 로봇이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인간과의 관계가 어떻게 배치되는지, 그리고 로봇이 비인간 역할을 수행할 때 인간과의 관계가 어떻게 변해 가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드라마 는 로봇이 인간의 생활에 개입했을 때 생길 수 있는 상황을 보여주는 ‘거대한 사고실험’의 드라마가 된다. 드라마에서 인간이 로봇을 대하는 태도에 따라 그것은 인간들 간의 갈등, 즉 근대적 인간과 전 근대적 인간의 갈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드라마 속에서는 하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로봇을 동경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관점까지 드러남으로써 로봇을 둘러싸고 출현하는 인간 종들 간의 갈등을 세밀하게 보여준다. 특히 로봇이 인간의 정서에 개입하여 비인간역할을 수행할 때 인간과 어떤 관계를 생성할 것인가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고프먼의 역할이론
 2. 본론
  2.1 하인으로서의 로봇 
  2.2 비인간 역할의 역설
 3.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추미선 Chu, Misun. 강원대학교 문화예술대학 영상문화학과
  • 유승호 Ryu, Seoungho. 강원대학교 문화예술대학 영상문화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