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도권 5개 역세권 복합개발 및 지역 활성화의 구조적 관계 분석

원문정보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ropolitan 5 Railroad Station Area Mixed-Use Development and Regional Revitalization

최수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how mixed development around railroad station area affects regional revitalization and residents’ quality of life. We attempt to draw strategies for railroad station area mixed-use development for betterment of residents’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different types of railroad station area development (SAD hereafter), I divided two different groups: general SAD (Wangsim-ri, and Cheongryang-ri), and high-speed rail SAD (Seoul, Yongsan, and Gwangmyeong).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assessment indicators related to railroad station area mixed-development are synthesiz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final indicators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FGI). As a result, I found main function group (5 variables), revitalization support group (4 variables), and core mixed facilities group (5 variables). Second, based on the assessment indicators, survey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conduct a survey to local residents. Third, I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both general SAD model and high-speed rail SAD model as well as five individual SAD models.

한국어

본 연구는 역세권 복합개발이 지역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향후 주민 입장에서 개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역세권 복합개발 방향과 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개발 차이를 감안해 일반철도 역세권(왕십리, 청량리)과 고속철도 역세권(서울, 용산, 광명)으로 유형을 분류했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평가지표 체계를 구축하였고, 전문가 표적집단면접을 통해 분석변수를 확정하였다. 그 결과 ‘주요 도입기능’ 관련 5개 변수, ‘활성화 지원 방안’ 관련 4개 변수, ‘핵심 복합시설’ 관련 5개 변수를 설정하였다. 둘째, 확정된 분석지표를 바탕으로 연구가설 및 설문을 설계한 뒤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해 일반철도와 고속철도 역세권을 나누어 분석한 뒤 5개 역세권을 개별 분석하였다. 역세권 복합개발이 지역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통적으로 교통·정보교류·상업업무·주거 기능이 지역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철도 역세권에서는 핵심 복합시설(기업 및 산업단지,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등)이 지역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고속철도 역세권에서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 Abstract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역세권과 역세권 개발의 개념 및 특성
  2. 역세권 개발 및 지역 활성화 관련 연구
  3. 역세권의 역할 및 특성
  4. 연구의 차별성
 Ⅲ. 분석체계 설정 및 설문조사
  1. 분석변수의 선정
  2. 설문조사 내용 및 결과
  3. 연구가설 및 분석모형 설정
 Ⅳ. 역세권 복합개발과 지역 활성화의 구조적 관계 분석
  1. 수도권 5개 역세권
  2. 일반철도 역세권
  3. 고속철도 역세권
 Ⅴ. 결론
 < 국문요약 >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수범 Choi, Soo-Beom.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경영인사처) 차장, 도시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