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표준지공시지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cision Making Factors for the Standard Public Land Price

김태환, 노영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main influence the decision of the original to a standard land official land price of developed areas and undeveloped areas all items in the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 for official land price of standard areas calculated to correspond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real estate to analyze the factors, while to improve the relevance, for the purpose of trying to improve the rationality and reliability of official land prices, it was carried out this research. Results of the analysis, the unique phenomenon that appeared, Jeonju western new urban areas noted, usage, zoning, road traffic, land shape variables, have been shown to have had an overall significant effect Whereas there, the entire northern innovations urban areas, land category and usage, it was analyzed that are affected by biased to use a local variable. In addition, if they are displayed in the same phenomenon in all North innovation peri-urban area around Jeonju western new city, all north innovation urban areas, the shape of the road shape and land except for the road clown, topography of the land, terrain, etc. variables are analyzed and there is no variable affecting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was found to show a predetermined pattern between regions.

한국어

본 연구는 부동산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표준지공시지가 산정을 위한 토지특성조사의 전 항목을 기초로 개발지역과 미개발지역의 표준지 공시지가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여 그 적정성을 제고하는 한편, 공시지가의 합리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나타난 특이한 현상은 전주 서부신시가지 지역은 지목, 이용상황, 용도지역, 도로교통, 토지형상변수가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반면, 전북 혁신도시 지역에서는 지목과 이용상황, 용도지역 변수에 편중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주 서부신시가지 주변과 전북 혁신도시 주변지역에서도 비슷한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고, 전북 혁신도시 지역은 도로광대를 제외한 도로형태나 토지의 모양, 토지의 지형, 지세 등의 변수는 유의수준 범위 내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전무한 것으로 분석되어 지역 간 일정한 패턴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 Abstract >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1. 공시지가제도의 도입배경
  2. 공시지가의 활용
  3. 표준지공시지가 현황
  4. 선행연구 검토
 Ⅲ. 모형의 설계
  1. 변수의 선정
  2. 자료의 빈도분석
  3. 표준지 면적과 공시지가의 통계량 분석
 Ⅳ. 실증분석
  1. 개발지역 분석
  2. 개발지 주변지역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태환 Kim, Tae-Hwan. 서해대학교 부동산과 외래교수
  • 노영학 Noh, Young-Hak. 경기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겸임교수, 부동산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