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Slum tourism as a tool for urban-regeneration : Case study of Gwaengiburi-Maeul, Incheon

원문정보

도심재생수단으로서의 슬럼관광 : 인천 괭이부리마을을 사례로

오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최근 국내 많은 지자체들이 구도심의 재생을 목적으로 빈곤 또는 낙후 지역을 관 광매력물로 개발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정부주도 관광개발은 통상적으로 빈곤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중점을 둔다. 그러나 일반적인 관광유형과는 달리 슬럼관광의 핵심적 인 관광자원은 지역주민의 삶과 인권에 직접적으로 관여된 빈곤이다. 본 연구는 탈산 업화시대에 도래한 선진국이 채택하는 도시재생수단인 슬럼관광의 개념을 이해하고, 슬럼관광의 주요 이해관계자인 지역정부, 지역주민, 잠재적 관광객의 관점에서 도심 재개발의 유형 중 하나인 슬럼관광의 특성과 효과성에 대해 논의하며, 마지막으로 대 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적인 쪽방촌인 인천 동구 만석동의 괭이부리마 을에서 시행된 「인천시 동구 옛 생활 체험관 설치 및 운영 조례(안)」을 사례로 연구 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지역정부는 빈곤지역의 재생 을 위한 도구로 슬럼관광 사업을 채택하기 이전에 해당 지역이 주민들의 거주공간임 을 인식하고, 거주환경, 복지, 기타 주민 영향요인을 고려한 다각화된 관점의 면밀한 조사를 선행해야 한다. 둘째, 지역주민은 슬럼관광 사업에 대한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닌 자신들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결과에 대해 논리적인 이유에 근거한 권리와 의견 을 주장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잠재적 관광객들은 여가활동으로 슬럼관광을 선택하기 이전에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행동을 실천해야 하며,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1. Urbanisation and slumification
  2. Urban regeneration and tourism
  3. Slum tourism in South Korea
 Ⅲ. Case Study
  1. Methodology
  2. Case of Gwaengiburi- Maeul
 Ⅳ. Findings and discussion
  1. The result of the slum touristification project
  2. Problems of the slum touristification : the Case of Gwaengiburi-Maeul
 Ⅴ. Conclusion
 Reference

저자정보

  • 오수진 Soojin Oh.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