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구려와 고대 중국의 鼎에 대한 신화적 인식 비교 - 「대무신왕본기」 沸流源大鼎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the mythical Perception on Jeong(鼎) Cauldrons between Goguryeo and Ancient China : Focused on the Biryuwondaejeong of 「Daemusinwangbongi」

고구려와 고대 중국의 정에 대한 신화적 인식 비교 - 「대무신왕본기」 비류원대정을 중심으로 -

이성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iryuwondaejeong of Goguryeo is a mysterious jeong cauldron that heats up by itself without fire. Biryuwondaejeong bears resemblance to ancient Chinese jeong cauldrons. For example, Biryuwondaejeong symbolizes God's will(天命) and royal authority. The mythical symbolism of Biryuwondaejeong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ancient China. All the same, there is some difference between Biryuwondaejeong and ancient Chinese jeong cauldrons. Ancient Chinese jeong cauldrons are generally linked with mythical male rulers such as Huangdi, Yu, and Qi. In opposition to ancient China, Biryuwondaejeong is closely linked with female. In ancient Korea, females are frequently linked with religious priests. Furthermore, Biryuwondaejeong is one of three divine treasures along with golden royal seal and weapon. Three is a sacred number that symbolizes God's will and royal authority in ancient Korea. In short,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Goguryeo had its own mythical religious thought system. Therefore, it seems that ancient Chinese mythical perception of jeong cauldrons had to change when it entered into traditional mythical religious thought system of Goguryeo.

한국어

고구려의 비류원대정과 고대 중국의 정은 그 신화적 인식에 있어 천명이나 왕권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불을 때지 않아도 열이 나는 것과 같은 신비한 능력을 지닌 점 등에서 유사성이 있다. 그러나 양자 사이에는 다양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고대 중국의 정이 대개 신화적인 남성 통치자와 관련이 있는 반면에 대정은 여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고대 중국의 정은 상징적이고 정치적인 성격이 강하지만 대정은 신비한 능력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 또한 고대 중국의 정은 단독으로 천명을 상징하지만 대정은 천명을 상징하는 세 가지 신보 가운데 하나이다. 대정이 천명을 나타낸다는 고구려의 신화적 인식은 고대 중국의 정에 대한 일반적인 신화적 인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고구려에는 3이나 고각과 같은 천명을 상징하는 독자적인 신화․종교적 사상 체계가 있었기 때문에 정이 단독으로 천명을 의미한다는 고대 중국의 신화적 인식은 고구려로의 수용과정에서 변화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고구려인에게 정은 3이라는 신화적 요소와 결합해야만 비로소 천명을 온전히 드러낼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정에 대한 신화적 인식 분석
 Ⅲ. 정에 대한 신화적 인식 차이와 그 함의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성재 Lee, Seong-jai. 인하대학교 융합고고학전공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