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animals~featuring satires among bu literature of the 17th century to show that the satires served as a medium of social criticism. The analys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lucidating characteristics of bu literature of the 17th century. To investigate the role of animal~featuring satires in bu literature, we chose 17th century as it was a prolific period for bu literature. Among them, we examined 11 works of bu that featured animals. Meanwhile, the objects of criticism in bu literature can be divided into political circumstances, specific figures or social classes, or overall social condition. And the reasons for criticism are mainly threefolds: to urge self~reflection for readers and their social class, to provide self~consolation through a lament of reality, and to propose solutions to resolve problems. Stories can be also classified by the class of featured animals. We could verify critical voices in works of bu of the 17th century that featured animals. Quite a few works of bu contain self~reflection of the ruling class, as well as sharp criticism over the society. Such reflection and criticism could be found in animal~featuring works of bu.
한국어
본 연구는 17세기 부 문학 작품에 나타난 동물우언의 분석을 통해 동물우언이 부 문학의 현실 비판 기능을 담당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17세기 부 문학 작품의 특징을 규명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부 작품의 동물우언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부 작품 수가 많다고 평가받는 17세기 부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그 중 동물우언이 나타나는 열 한 편의 부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동물우언이 나타나는 부 작품의 비판 대상은 당대의 정치 상황에 대한 비판과 특정 인물 혹은 계층에 대한 비판, 세태에 대한 비판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비판의 이유는 또 다시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자기 자신이나 자신이 속한 계층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기 위한 것, 둘째, 당대의 현실에 대한 토로를 통해 자기 위안을 삼는 것과 셋째, 현실의 상황을 극복할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작품에 등장하는 동물의 귀천에 따라 우의의 내용을 분류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동물우언이 나타나는 17세기 부 작품의 현실 비판적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 문학에는 지배계층 스스로의 자기반성과 당대의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이 담겨 있는 작품이 상당수 존재한다. 그 가운데 동물우언이 사용되고 있는 작품들에서 그러한 반성과 비판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목차
1. 서론
2. 동물우언이 나타나는 부 작품의 현실 비판적 성격
3. 동물우언이 나타나는 부 작품의 특징
4. 동물우언을 포함한 17세기 부 작품의 의의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