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증후여편종 명문과 그 사료적 가치

원문정보

The Zenghouyubianzhong and its value of historical material

김정열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0집 2018.06 pp.281-32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Zenghouyubianzhong is one of the carillons excavated in the grave of Zenghou(the Marquis of Zeng), M1 of the cemetery of Wenfengta in Suizhou of Hubei. In the Zenghouyubianzhong, there are 169 inscriptions, which are not only very interesting but has great value of historical material. This paper aimed to examine the contents of Zenghouyubianzhong in writing system study at first, and then inspect its meaning and value as a historical material. Its value of historical material could be captured in three aspects. At first, if the production date of Zenghouyubianzhong was determined in the very late of Spring and Autumn period, generally B.C 490, we could find that in this period the various of principalities reinforced their ideology of political legitimacy developing the independent principal. These phenomena were verified in Qingonggui and Jingongzheng produced in same period. Secondly, Zenghouyubianzhong suggests a connecting factor that we could arrange the literature materials discovered until now as one context. From this, the history of principality of Zeng become an isolated case which could be reconstituted in some detail during 700 years from the former half period of the Western Zhou period to early period of Warring States period. This case could be used as a clue which made be easily understandable the historical flow through a concrete case that the Western Zhou period was fragmented and the various of principalities developed to territorial state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hirdly, the Zenghouyubianzhong could be a clue that could resolve the mystery of Zeng which is one of the main studying issues of the histoty of pre-Qin China. The argument was continued in academic circles for a long time about whether the China verified in unearthed documents in South Central area of Hubei and the State of Sui showed in document literature such as Zuozhuan were the same thing or not. The majority of Chinese intellectuals consider that this mystery get solved through the inscriptions of Zenghouyubianzhong. However, the definitive answer to this issue should be deferred until removing the indeterminate elements.

한국어

증후여편종은 최근 호북 수주 문봉탑묘지의 증후묘, M1에서 출토된 편종 가운데 한 점이다.(M1:1) 증후여편종에는 모두 169자의 명문이 주조되어 있는데, 그 내용이 매우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사료로서의 가치도 크다. 이 글에서는 먼저 증후여편종의 내용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뒤이어 그 내용이 가지는 사료로서의 의미와 가치 등을 살펴보았다. 증후여편종이 가지고 있는 사료로서의 가치는 특히 세 가지 측면에 그 초점을 두었다. 첫째, 증후여편종의 제작시기를 춘추시대 후기의 가장 늦은 시기, 대체로 기원전 490년경의 작품으로 파악하면, 여기에는 제후국이 독자적인 국가로 성장하여 가면서, 자기 존재의 정당성을 이념화하는 시대적 흐름이 포착된다. 이것은 같은 시기에 제작된 진공궤나 진공정 등에서도 공통으로 확인되는 현상이다. 둘째, 증후여편종은 지금까지 발견된 증국 관련 출토문헌 자료를 하나의 맥락으로 정리할 수 있는 연결점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증국의 역사는 서주 전기부터 전국 초기까지 약 700년 동안의 장구한 시간에 걸쳐 그 발전의 궤적을 비교적 상세하게 재구성할 수 있는 매우 드문 하나의 사례가 된다. 이것은 서주 왕조가 해체되어 다수의 독립국이 성장하고, 이들이 전국시대의 영토국가들로 수렴되어 가는 역사적 흐름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실마리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증후여편종은 선진사 연구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였던 ‘증국의 수수께끼를 해결하는 단서로 활용될 수 있다. 학계에서는 호북 중남부 일대의 출토문헌에서 빈번하게 확인되는 증국과 󰡔좌전󰡕 등의 전래문헌에 보이는 수국이 동일한 것인지를 두고 오랜 기간 동안 논쟁이 지속되었다. 중국학계의 연구자 대다수는 증후여편종의 명문을 통해 이 ‘수수께끼’가 해결되었다고 판단한다. 다만 이 문제에 대한 최종적인 답변은 여러 가지 불확정적 요소를 제거할 때까지 유보되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되어야 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증후여편종 명문 釋讀
 Ⅲ. 증후여편종 명문의 사료 가치
  1. 증후여편종의 제작 연대와 그 배경
  2. 증후여편종과 증의 역사
  3. 증후여편종과 ‘曾國의 수수께끼’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열 Kim, Jung Ryol. 숭실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