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韓末 鴨綠江 하구 黃金坪의 형성과 변화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Hwanggeumpyoung in the Aprok River estuary and it's Developing in the late Daehan Empire

한말 압록강 하구 황김평의 형성과 변화

吳秉漢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0집 2018.06 pp.123-15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wanggeumpyoung(黃金坪), an island in the Aprok River estuary, is originated from Hwangchopyoung(黃草坪 hereinafter HCP). It was an island that created later than other islands and banks like Wiwha Island(威化島). It’s origin was a small reed bank divided into two parts. A small part formed in the early or middle 1800s continue to move its position to the Chinese coast. A large part was created in the course of flood and erosion in the Aprok River. HCP became an one of islands in the river in the 1920s. Although it seems to be a part of Chinese, it is the forth largest island in North Korea in the river. Despite the existence of HCP was recognized only from the PyeonganGamyeongGerock(平安監營啓錄, A short report on Province of Pyeongando affairs), record about negotiations between Chosun and Qing dynasty in 1883, most of it’s historic records have been written by the Japanese since the 1900s. It’s jurisdiction became unclear after 1895 the abolishment of the Shindo-Jin(薪島鎭). It could be attributed to the frequent changes in the jurisdictional institutions since 1895, and indifference of Korean government due to the HCP’s location in frontier. Most of HCP records in Korea and Japan now was produced by Japan’s interest in it. orea and Qing Dynasty have been involved in diplomatic disputes over the ownership of HCP reed. However, it was Japan after the Russo-Japanese War that recognized HCP’s strategic and economic value. Most of Japan’s maps depicted the river after the war was more detailed than ones before. It is reported that the landscape of Aprok River estuary, has changed a lot from the time of HCP formatio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tim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ra and even North Korea & China’s Boundary Convention in 1964. In this mean, HCP could be a good example that make us image the unchanged landscape of the river. Also, it’s records can give us the data about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North Korea-China's Aprok River frontier in 1964.

한국어

현재 압록강 하구에 위치한 황금평의 원래 명칭은 황초평이었다. 황초평은 위화도나 다른 압록강 하구의 섬과 사주처럼 처음부터 존재한 섬은 아니었다. 황초평은 자료상 1800년대 초중반에 갈대섬이던 소황초평이 먼저 형성되었다. 그러나 형성 당시의 위치는 지금과 달리 중국 연안보다 한국 연안에 가까웠다. 소황초평은 형성 이후 압록강의 홍수와 조류의 영향으로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그 위치가 점차 중국 연안으로 이동하였다. 이 과정에서 1900년대를 전후하여 대황초평이 형성되었다. 황초평이 현재와 같은 압록강 하구의 섬이 된 것은 1920년대부터였다. 이후에도 황초평은 그 위치가 계속 중국 연안으로 이동하였다. 현재 그 위치는 북한보다 중국 연안에 더 가깝지만 북한에 소속된 압록강 하구의 섬 가운데 하나이다. 황초평의 존재는 1883년 황초평을 둘러싼 조선과 청 관원들의 교섭을 기록한 『평안감영계록』에서 최초로 확인된다. 그러나 『평안감영계록』을 제외한 대부분의 황초평 관련 자료들은 1900년대 이후 일본인들에 의하여 작성되었다. 1895년 신도진 폐지 이후 황초평은 관할기관이 자주 변경되었던 탓에 1883년 이후 그 소속이나 관할기관이 불분명하게 되었다. 또한 그 위치가 당시 변경이던 압록강이었기 때문에 특별히 주목을 받을 이유가 없었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도 부족하였다. 현재 한국과 일본에 존재하는 황초평 관련 자료들은 이러한 일본인의 황초평에 대한 관심과 주목의 산물이다. 1883년에 이어 1901년부터 한국과 청은 황초평의 소속을 둘러싸고 외교 분쟁을 벌였다. 이 당시 양국의 주된 관심사가 황초평의 갈대 소유권이었다. 황초평의 존재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러일전쟁 이후부터였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압록강 하구에서 그 전략적·경제적 가치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제작한 압록강 지도에서 압록강 하구에 대한 표기가 이전보다 상세한 것은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압록강 하구에 대한 관심과 이해관계를 보여준다. 현재 압록강 하구는 19세기 황초평의 형성 시기는 물론 일제강점기, 심지어 1964년 변계의정서 체결 당시와도 많이 달라졌다고 한다. 이러한 점에서 황초평 및 관련 자료의 가치는 19세기 중엽 이후 도서와 사주를 포함한 압록강 하구의 변화와 원래 압록강 하구의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또한 현재와 같은 북한과 중국의 압록강 국경 형성의 역사적 배경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황초평 관련 자료 소개
 Ⅲ. 大·小황초평의 형성과 관할 문제
  1. 大·小황초평의 형성과 변화
  2. 황초평 관할기구와 소속의 변화
 Ⅳ. 황초평의 면적 확대와 島嶼化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吳秉漢 오병한.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