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easons why Korea's traditional ethical approach is needed to design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Based on ji e do(志於道), geogyeong(居敬), gung-ri samdan(窮理三端), derived from stands out from Yulgok’s Sugi sang(修己上) pyeon of Seonghakjipyo, Find a the Moral Educational Curriculum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study, Yulgok's Confucianism could contribute to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in a moral education’, ‘Provides a basis for setting core values’, and ‘Providing grounds for setting up moral education’s Elective subjects in high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finding ways to design a subject course that i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 교육과정 설계 시 한국 전통 윤리학적 접근이 필요한 이유를 밝히고, 율곡의『성학집요』<수기 상>편에서 고려할 수 있는 도덕과 교육과정 설계 방안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율곡의『성학집요』는 한국 유학을 대표하는 서적 중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율곡의 도덕 교육적 독창성이 돋보이는『성학집요』<수기 상> 편에서 志於道, 居敬, 窮理三端의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도덕과 교육과정 설계 방안을 모색하였다. 율곡의 성리학은 도덕과의역량 개념을 명료화하고 핵심가치(core value) 선정 및 고등학교 도덕과 선택과목의 설정 근거를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연구 결과는 한국의 실정에 맞는 주체적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방안을모색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어떠한 역량을 갖추어야 성인(聖人)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고, 교육과정 설계시 율곡의 교육론과 다른 윤리학의 내용을 어떻게 조화시킬지에 대한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전통 윤리학적 접근의 필요성
1. ‘교과를 통한 도덕 교육’ 전통의 계승 및 발전
2. 한국의 실정에 맞는 주체적인 교육과정 설계
Ⅲ.『성학집요』<수기 상>편에서의 도덕 교육관
1. 입지(立志)장 : 志於道
2. 수렴(收斂)장 : 居敬
3. 궁리(窮理)장 : 窮理三端
Ⅳ. 도덕과 교육과정 설계 방안
1. 도덕과의 역량 개념 명료화
2. 핵심가치(core value)의 설정 근거
3. 고교 도덕과 선택과목 설정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