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1인가구 청년의 건강행태, 식습관 및 심리적 건강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Health Behaviors, Dietary Habits, and Psychological Health on Metabolic Syndrome in One-Person Households Among Korean Young Adults

김아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health behaviors, dietary habits, and psychological health on metabolic syndrome (MS) between young adults living in one-person households (OPHs) and multiple-person households (MPHs). The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hich was conducted in 2014 and 2016 were used. The subjects were 2,682, who were 20 to 39 years ol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Rao-Scott χ2-tests, t-tes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23.0 software. Sex, age, obesit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associated with MS in young adults living in either OPHs or MPHs. Breakfast consumption frequency, eating alone, food label use, stress, and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MS only in young adults living in OPHs. Thus, these differentiated risk factors of MS should be considered, when health promotion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are planned for young adults living in OPHs. Also,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trategies or interven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년)와 제7기 1차년도(2016년) 원시자료를 분석하여 1인가구와 다인가구 청년의 건강행태, 식습관 및 심리적 건강상태를 비교하고, 이들 요인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20-39세 남녀 2,682명(1인가구 173명, 다인가구 2,509명)이었고, 복합표본 교차분석, 일반선형모형 t-검정,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1인가구와 다인가구 청년에게 공통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대사증후군 영향요인은 성별, 연령, 비만, 주관적 건강상태였고, 1인가구 청년에게만 유의한 요인은 아침식사 빈도, 매 끼니 혼밥 여부, 식품표시 이용 여부, 스트레스 인지, 우울 정도였으며, 다인가구 청년에게만 유의한 요인은 음주였다. 본 연구는 1인가구와 다인가구 청년의 대사증후군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는 1인가구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중재를 계획할 때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
  2.5 윤리적 고려
 3. 연구 결과
  3.1 1인가구와 다인가구 청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식습관 및 심리적 건강상태 비교
  3.2 1인가구와 다인가구 청년의 대사증후군 구성 요소 비교
  3.3 1인가구와 다인가구 청년의 건강행태, 식습관, 심리적 건강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아린 Ahrin Kim. 청주대학교 보건의료고학대학 간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