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이 기억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집행기능결함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Adult Smartphone Addiction on Memory Impair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eficiencies

임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eficienc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memory impairment and to suggest treatment implications for adults with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For this study, 300 adults(146 males and 154 females) were conduc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Short Form(BDEFS-SF), and Multifactorial Memory Questionnaire(MMQ).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smartphone addiction, executive function deficiencies, and memory impair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Smartphone addic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all of the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and memory impairment. Third,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elf-organization/problem solving, self-management to time, self-restraint, and withdrawal were the best predictors of memory impairment. Forth, Executive function deficiencie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memory impairment. These findings were considered to suggest that treatment programs for smartphone addiction group needed to include training for cognitive improvement such as executive function rehabilit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이 기억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집행기능결함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상담개입과정에서의 함의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성인 300명(남 146명, 여 15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집행기능결함을 측정하기 위한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Short Form(BDEFS-SF), 기억손상을 측정하기 위한 다요인 기억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은 집행기능결함 및 기억손상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집행기능결함은 기억손상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 위험집단은 일반사용자집단에 비해 집행기능결함과 기억손상의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과 집행기능결함의 하위요인들이 기억손상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조직화/문제해결, 시간에 대한 자기관리, 자제, 금단의 순으로 기억손상에 대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넷째, 집행기능결함은 스마트폰 중독과 기억손상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했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이 있는 성인을 위한 상담개입과정에서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집행기능 재활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스마트폰 중독
  2.2 집행기능결함
  2.3 스마트폰 중독, 집행기능결함, 기억손상의 관계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도구
  3.3 자료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기술통계
  4.2 상관관계
  4.3 스마트폰 중독 위험 집단과 일반 사용자 집단간의 집행기능결함 및 기억손상 차이
  4.4 기억손상에 대한 스마트폰 중독 및 집행기능 결함 요인의 단계적 회귀분석
  4.5 측정모형의 검증
  4.6 연구모형의 검증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임지영 Jeeyoung Lim. 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