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new governance aimed at efficient policy planning and the implementation thereof by the government has been conducted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 Nonetheless, governance is comprehensive and encompasses different meanings; it takes various forms in the process of its actual application. Therefore,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research on governance and analysis on its research trend are required. Accordingly, three researchers who majored in policy sciences, business informatic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pectively, searched for theses related to governance published since 2016 from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conducted a social network analysis (SNA) on them. According to their research results, the main research topic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local governance. Keywords throughout the topics included network, participation, conflict, and trust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ance. Representative subjects of governance included education, urban regeneration, and the environment. Further, measurement of betweenness centrality showed local governance was a main topic for convergent research. This study will lead to a greater understanding of research on governance and help activate such research. On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d only theses with the keywords but not all theses on governance. Follow-up research should analyze all theses on governance and statistically verify them with SNA indexes.
한국어
사회변화에 따라 정부의 정책입안 및 실행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새로운 거버넌스 구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거버넌스는 포괄적이고 여러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실제 적용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거버넌스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와 연구동향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정책학, 경영정보학 등의 다른 전공을 가진 3명의 연구자가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2016년 이후 발간된 거버넌스 관련 학위논문들을 검색하여 소셜네트워크분석(SN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된 연구 주제는 협력거버넌스와 로컬거버넌스로 크게 분류 되었다. 거버넌스가 가지는 특징에 맞게 네트워크, 참여, 갈등, 신뢰 등의 주제어가 나타났으며, 거버넌스의 대상으로는 도시재생과 환경, 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 융복합 연구를 위해 로컬거버넌스가 주요 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거버넌스 연구에 대한 이해를 돕고, 거버넌스 연구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계점으로는 거버넌스 전체 논문이 아닌 키워드가 제공된 일부 학위 연구 논문만을 분석 대상으로 한 점이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전체 거버넌스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확대 하고, SNA 분석지표와 함께 통계적으로 이를 검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거버넌스
2.2 소셜네트워크분석
3. 연구방법
3.1 분석 대상 및 절차
3.2 분석 결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