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We aimed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nalyze the convergence effect of utilizing smartphone technology for Therapeutic Lifestyle Change(TLC)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A survey using a structured self-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549 male and 357 female subjects.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23.0 and AMOS 21.0. The model fit for the modified hypothetical model was shown: Q(χ2/df)=3.241, AGFI=0.968, CFI=0.970, RMSEA=0.050(95% CI=0.035, 0.065), SRMR=0.048. In modified model from hypothetical model, the opinions about smartphone use affect the willingness to use smartphone applications. And the willingness to use smartphone applications affect dietary and living habit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a convergent study using various delivery systems such as smartphone technology is necessary to implement TLC, which can facilitate the preven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people with schizophrenia.
한국어
본 연구는 대상자의 스마트폰 활용에 대한 의지와 생각이 생활습관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된 융합적 구조모형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2016년 6월부터 9월까지 남자 549명, 여자 35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 수집하였으며 SPSS 23.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수정된 가설 모형의 적합도는 Q(χ2/df)=3.241, AGFI=0.968, CFI=0.970, RMSEA=0.050(95% CI=0.035, 0.065), SRMR=0.048 이었다.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 활용에 대한 생각은 스마트폰 앱 활용 의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과 환자의 스마트폰 앱 활용 의지는 식습관과 생활습관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모형 구축 결과는 대사증후군이 있는 정신질환자에게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 적용 시 스마트폰 앱 등 다양한 전달체계를 활용하는 융합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스마트폰 관련 특성
3.3 구조모형 분석
3.4 수정모형의 효과분석
3.5 조절효과 모형 분석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