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wa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types of the subjectivities possessed by the individual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the health of the skin on the part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by applying the Q-methodology an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special features. Regarding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41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 one university were made into the P-samples. And, by selecting 34 Q-samples from the total of 141 Q-populations, the forced distribution took place in terms of the 9-points scale.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and the contents regarding interviews were record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QUANL progra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4 types were discovered. They appeared as ‘the professional knowledge pursuing type’, who consider the expertise regarding the skin management important, ‘the nature-oriented type’, who express the importance of the skin rather than the functional, cosmetic products, ‘the active self- management type’, who pursue the highly-functional cosmetic products and the active skin management, and ‘the self-ostentation type’, who consider the external parts, rather than the health, important. As a resul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special characteristics by each type regarding the skin health management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must be understood, and a differentiated educational method or approach method for the skin health management resulting this must be considered.
한국어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여대생의 피부건강관리에 대하여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주관성의 유형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 여대생 41명을 P표본으로 하여 총 141개의 Q 모집단으로부터 34개의 Q표본을 선택하여 9점 척도 상에 강제 분포하도록 하였으며, 대상자를 인터뷰하고 그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자료는 QUANL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유형이 발견되었으며, 피부 관리에 있어 전문성을 중요시 하는 ‘전문적 지식 추구형’, 기능성 화장품보다는 자연피부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자연지향형’, 고기능성 화장품이나 적극적 피부관리를 추구하는 ‘적극적 자기관리형’, 건강보다는 외형적인 부분을 중요시하는 ‘자기 과시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각 유형별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피부건강관리를 위한 차별화된 교육방법이나 접근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Q 표본구성
2.2 P 표본 선정
2.3 Q 분류
2.4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Q 유형의 형성
3.2 각 유형의 특성
4. 결론 및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