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남성의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수용정도와 발현의 특수성 - 20~30대 몸 관리행동 참여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Korean Men’s Degree of Acceptance and Expression Specificities of Body-conscious Fashion Style - Focused on Body Management Participants in 20~30s -

이채영, 하지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anifestation of a body-conscious fashion style by examining its trend and specificity based on its acceptance. Literature research was performed, and Amadeo Giorgi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ies were appli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mong men in their 20s and 30s who demonstrated sensibilities to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body and regularly practiced body management. The results revealed a group of men who preferred and accepted the body-conscious fashion style, the promoting factors were determined as other-oriented ostentation to show off body change, an increased desire for self-expression through the body. In a group of men who selectively accepted the body-conscious fashion style, a tendency to separate the body from fashion was exhibited. In a group of men who rejected or disliked the body-conscious fashion style, fear of emphasizing the shortcomings of the body, feeling uneasy with the attention of others, conservative environment and gender stereotyping were determined as obstacle factors for the manifestation of the body-conscious fashion style. When adopting the body-conscious fashion style, Korean males exhibit a positive attitude toward displaying the shape of the upper body but a passive attitude toward showing that of the lower body and use colors and details in a highly limited manner when selecting the body-conscious fashion style. The specificities of the manifestation of body-conscious fashion style include the selection of a style according to an internal group consciousness, reorganization of an ideal body and internal expression through a managed bod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남성의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의 수용정도와 활용 경향에 따른 스타일 발현의 특 수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 연구와 아메데오 지오르기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에 기반을 두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몸 관리행동을 수행하는 한국 20~30대 남성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 뷰를 진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을 선호·수용하는 집단에서는 몸의 변화를 과시하여 드러내고자 하는 타자 지향적 과시와 몸을 통한 자기표현 욕구 증가 및 단점의 보완을 위한 자기만족적 표현 욕구가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촉진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을 선택 적으로 수용하는 집단에서는 몸과 패션을 분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몸과 패션의 분리는 신체적 편안함을 우선시하여 의복을 선택하거나 몸을 우선시하여 특정 의복 스타일로부터 자유롭게 개인의 취향을 반영한 의복 선택을 추구하였다.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을 배제·불호하는 집단은 몸의 단점 부각에 대한 두려움과 몸을 드러내는 스타일에 대한 자체적 거부감이 나타났으며, 타인 시선에 대한 불편함, 성별 스타일 고정관념 이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발현의 방해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의 선택과 활용에 있어 서는 상체와 하체의 구분된 잣대를 적용하고 있었는데, 한국 남성들은 상체의 실루엣을 드러내는 것은 비교 적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반면, 하체의 실루엣을 드러내는 의복 선택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또한,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선택에 있어 색상과 디테일을 매우 제한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 은 몸에 밀착하는 실루엣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시화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위의 결과 들을 바탕으로 한국 남성의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발현의 특수성은 집단의식에 따른 스타일 결정, 패션스타 일에 규정되는 이상적인 몸의 재구성, 관리된 몸을 통한 내면의 표출로 도출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의 개념
  2. 20세기 남성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의 형성
  3. 한국 남성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에 대한 인식
 Ⅲ. 연구방법
  1. 연구범위 및 구성
  2. 연구방법 및 절차
 Ⅳ.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수용정도와 발현의 특수성
  1.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수용 정도와 발현 요인
  2. 한국 남성의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 발현의 특수성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이채영 Lee, Chai Young. 경희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시간강사
  • 하지수 Ha, Ji Soo.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