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정보처리 능력의 집중과 그에 따른 심리상태를 대변하는 개념들의 차별적 개념화와 조작화 : 주의, 관여, 몰입, 프레즌스, 플로우를 중심으로 한 실증연구

원문정보

Distinctive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Attention, Involvement, Engagement, Presence, and Flow

김태용, 최영균, 김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edia contents make users process stimuli and elicit subsequent psychological experience. To explain those states, several concepts (e.g., attention, involvement, engagement, presence, and flow) have been adopted.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used these concepts indistinctively in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As a result, inconsistent findings have been reported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curacy in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attention, involvement, engagement, presence, and flow. Toward that end, this study compared the conceptual definitions of five concepts. Also, we examined face validities of measurement items for each concept. Then, this study examined people’s video content experience using 18 items which eliminate overlapped measurement items among attention, involvement, engagement, presence, and flow. The finding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clarify the independence and exclusivity of each concept and interrelationship among the concepts.

한국어

인간은 때때로 특정 자극을 선별하여 집중적으로 처리하고 그 결과로 그것이 구성하는 흐름 또는 공간 속에 빠져드는 듯한 심리상태를 경험하곤 한다. 광고를 처리하는 소비자 역시 이러한 과정을 통해 광고주가 제작하여 전달하는 메시지를 처리하게 된다. 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개념들이 학술연구에서 사용되어 왔는데, 그 개념들 중 일부는 서로 유사한 정의를 갖고 있기도 하며, 서로 다른 정의를 갖고 있는 경우에도 실제로 개념화되고 척도를 통해 조작화/계량화되는 과정에서 심각한 중복을 드러낸다. 결국 상당히 비슷한 개념을 다른 이름으로부르거나, 상당히 차별적인 개념들을 동일한 항목들로 측정하는 등의 착오가 빈번히 발생하고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주의(-투여), 관여, 몰입, 프레즌스, 플로우의 개념들이 선행연구들에서 각각 어떻게 정의되어 왔으며, 그 각각의 측정은 어떠한 항목들로 이뤄져 왔는지를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본 후, 각 개념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어온 측정항목들이 충분한 표면타당도를 갖고 있는지를 설문을 통해 점검했다. 이후, 위 다섯 가지의 개념의 측정항목들을 통합하여 중복을제외한 후 만들어진 18항목 통합척도를 이용해 3분 길이의 단편영화를 시청한 응답자들이 시청중 또는 직후에 느낀 바를 답하게 하여 그 결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이 두 결과의 연계적 분석을 통해 연구자들은 다섯 가지의 개념이 모두 독립적으로 존재할 필요가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그 중 어느 개념들이 독립된 연구변인으로서 보다 타당한지, 그리고 실증 단계에서 발생되고 있는 타당성 문제들을 제거하기 위해 각 개념을 위한 척도의 구성항목들이 어떻게 조정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적 논의를 제공했다.

목차

요약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3. 문헌연구
  1) 개념화 수준에서의 고찰
  2) 조작화/계량화 수준에서의 고찰
 4. 연구방법
  1) 응답자
  2) 설문지
  3) 자극물
  4) 자료분석 방법
 5. 결과 및 논의
  1) 표면타당도 평가 결과
  2) 통합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3) 기타 분석 결과
 6. 결론 및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태용 Taeyong Kim.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 최영균 Yungkyun Choi. 동국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 김미경 Mikyoung Kim.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