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재생에너지 기술의 수출에 대한 정치ㆍ경제요인의 영향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olitical and Economic Forces on the Export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성봉석, 유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estion of how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may affect the export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The relationships are tested using panel data for 19 OECD member countries over the period 1992-2012. Before establishing the empirical model, the current study chec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nel data, which includes various panel framework analyses, such as tests for the presence of normality, structural breaks, first-order autocorrelation, heteroscedasticity, cross-sectional dependence, panel unit-root. From the panel framework analyses, a dynamic panel model is establish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examined in this study. In order to reduce the bias of the estimation of the dynamic panel model and obtain efficient parameters, this study uses the bias-corrected least square dummy variable(LSDVC) estimator to estimate the empirical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governmental policies expressed as coercive pressure and market size positively affect the export growth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However, public pressure and traditional energy industry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export performance.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한국어

본 연구는 정치ㆍ경제 요인이 재생에너지 기술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1992년부 터 2012년까지의 OECD 19개 회원국의 패널 자료를 이용하였다. 실증모델을 설정하기 전 데이터의 특성 파악을 위한 다양한 패널 프레임워크 분석(정규성, 구조변화, 1차 자기상관, 패널 이분산성, 패널 개체 간 상호 의존성, 패널 단위근 검정)을 수행하였다. 패널 프레임워크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데이터 특성에 부합하는 실 증모형을 설정하고, 동태 패널 모델의 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Bias-corrected Least Square Dummy Variable Estimator(LSDVC)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공식적인 강제압력으로 표출되는 정부의 수요견인정책과 경쟁압력을 표출되는 시장매력도는 재 생에너지 기술의 수출신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렇지만, 정치요인 중 규범적 압 력으로 표출되는 전통에너지산업의 주도와 비공식적인 강제압력으로 표출되는 공공압력은 재생에너지 기술 의 수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에너 지 산업의 성장과 수출 촉진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기존 문헌고찰 및 모델설정
  1. 기존 문헌고찰
  2. 모델설정
 Ⅲ. 데이터 및 방법론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부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성봉석 Sung, Bong-Suk. 경기대학교 지식정보서비스대학 무역학과 조교수
  • 유념 Liu Nian. 우송대학교 존엔티컷국제대학 매니지먼트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