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전통춤의 움직임 분석과문화원형의 가치 재인식을 위한 LMA 활용방안

원문정보

A Study on LMA for Analyzing and Reinterpreting Original Quality of Traditional Korean Dance.

최원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value and facilitation of LMA(Laban Movement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to find out special qualities of traditional Korea dance. For more specific examples, this study examines two previous researches on analyzing the movements of traditional Korean dances, Seung-mu and Jindo drum dance, through LMA. According to the preservation laws for Kore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raditional dance must be inherited and preserved as an original version(원형:one-hyung) which determines the artistic and historical values of the dance. At this point, the term, original version(원형:one-hyung) of traditional Korean dance can be reinterpreted in archepattern based on the concept of original quality (원본:one-bon). In traditional dance, the archepattern can be interpreted by its essence and specificity, which implies the meaning of the original source. In order to analyze the archepattern of the two traditional dances, Seung-mu and the Jindo drum dance, I explore the movements with the concept of LMA four categories, Body, Effort, Shape and Space. Seung-mu show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that concentrates on an emotion inherent in the undisclosed movements rather than the dramatic expression of the external movement. This reveals the Korean special cultural sentiment to sublimate the sadness and the agony of the Korean people. Scattering and gathering movements of arms and repetitive movements of steps were led by breathing and Core Initiation. These movement combinations with smooth energy flow in Vision Drive Effort(between Free, Direct, and Quick and Bound, Indirect, and Sustained) draw fantastic visual designs in the air. Using Shape Flow with Sagittal Hollowing Posture shows the intense and solemnity that imply the sadness inherent in the inner world. On the other hand, Jindo drum dance is relatively dynamic compared to Seung-mu. Diverse body parts like hands, arms, steps, and leg gestures are used with much more free and energetic effort. The use of Transversal, Peripheral Pathways and linear curved Traced Forms of arm gestures show a variety of visual designs. These characteristics of this dance imply the nature of this dance generated from a festival dance in the field with dynamic and free mood. The use of the Central Spatial Tension toward the audiences indicates an active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a dancer and audiences. The dynamic changes of the movement energy involve Drum beat with Action Drive Effort (Strong, Quick, and Direct), Rhythm State (Weak and Slow and Strong and Fast) and/or Mobile State (Bound and Sustained and, Free and Quick). The use of these energy changes can be interpreted as a special emotional quality excitement that is actively expressed by the ongoing mobile and rhythmic Effort. LMA analysis is a useful tool for identifying the ‘archetype/ original version’ of traditional dance through characterization and conceptualization centering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By identifying the originality of traditional Korean dance, it is important to discover the special quality and essence of the dance and opens up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global intangible culture. This can also provide some answers to the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what to learn, what to dance, and what to convey in the successio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dance. The systematic LMA analysis helps us to understand and perform the traditional dance properly. It will also bring an opportunity to utilize the original qualities as cultural contents for creating a new performance signifying Korean cultural heritages.

한국어

본 연구는 라반의 움직임 분석 시스템(LMA)을 통해 승무와 진도북춤의 움직임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재해석하여 한국춤에서 ‘원형’적 개념의 재인식과 전통춤을 분석하는 방법론으로서의 LMA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우리의 전통춤은 원형 보존이라는 개념을 원칙으로 계승과 보존이 이루어지며 이 원형은 역사성과 함께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춤의 예술적 가치를 결정짓는다. 각기 다른 문화의 양식에 따라 원형이란 다양하게 해석되어질 수 있으며 전통춤에서 원형이란 근원적 원질의 의미인, 내적 본질, 특수성으로 의미적 해석이 가능하다. 두 전통춤, 승무와 진도북춤의 원형에 대한 LMA 분석을 위해 신체(Body), 에포트(Effort), 쉐입(Shape) 그리고 공간(Space)의 네 가지 측면에서 세부적으로 접근하였고 그 도출된 특질들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승무는 외적인 움직임의 극적 표현보다는 드러나지 않는 움직임 자체에 내재된 감정에 집중하는 모습을 그 특성으로 보이며 한국인의 잘 드러내지 않는, 슬픔과 고뇌의 한을 승화시키려는 민족적 정서를 잘 나타내고 있다. 팔을 흩뿌리고(Scattering) 모으는(Gathering) 움직임과 호흡과 단전을 시작점(Core Initiation)으로 이끌리듯 행해지는 스텝의 반복적인 움직임은 환상적 에너지(Vision Drive)로 아름다운 시각적 환상을 이미지화 한다. 앞으로 약간 숙여진 시상적(Sagittal) 우묵한(Hollowing) 형태(Shape)의 포스쳐와 함께 쉐입 흐름(Shape Flow)을 이용은 내면세계에 집중하여 내재된 슬픔에 몰입한 진중하고 엄숙함을 보인다. 반면, 진도북춤은 승무에 비해 비교적 움직임이 역동적이다. 다채로운 손과 팔, 발놀음으로 자유로이 움직이는 제스츄어들의 횡단적(Transversal), 주변적 경로(Peripheral Pathway)의 공간 사용과 직선적, 곡선적 트레이스 폼(Trace Forms)들은 다양한 시각적 볼거리를 연출한다. 이 춤의 원류가 마당이나 들판에서 행해졌던 특성상 관객과 교감을 중시하며 중심적 공간의 긴장감(Central Spatial Tension)의 사용하고 관객과의 적극적인 감성적 상호교류를 의도한다. 힘있는 타고(Action Drive)의 에포트(Effort)와 강하고 빠르고 약하고 느려지는 때로는 응축되고 풀리는 에너지의 흐름의 다양한 변화는 주로 리듬 상태(Rhythm State)와 유동적 상태(Mobile State)의 에포트(Effort)의 사용은 흥을 돋우어 적극적으로 에너지를 표출하는 신명으로 해석 가능하다. LMA분석은 각 춤이 지닌 독특한 특질들을 중심으로 특성화, 개념화를 통해 전통춤의 ‘원형’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작업으로 그 특성을 구체화시켜 춤의 독창성(Originality)을 발견하고 우리의 문화정체성을 찾아 세계적인 무형문화로서 발돋움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는 전통춤의 창조적 계승과 적극적 보존에 있어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춤추고, 무엇을 전수할 것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물음에 적절한 해답을 제시해줄 수 있다. 이렇게 우리 춤에 대한 체계화된 분석은 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춤 수행을 돕고 보다 창의적인 계승방안으로 그 원형을 새로운 문화컨텐츠로서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또한 LMA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활용과 디지털화된 기록, 저장은 21세기 디지털 문명과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대비한 춤 연구법으로 향후 보다 적극적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목차

I. 서론
  1. 연구목적과 필요성
  2. 연구방법 및 제한점
 II. 한국 전통춤의 원형의 개념과 LMA의 기본적 이해
  1. 전통춤의 원형과 그 움직임
  2. LMA의 효용성
 III. 분석의 실제 사례
  1. 승무
  2. 진도북춤
 IV.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최원선 Choi, Won-sun. 경희대학교 무용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