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4차 산업혁명과 환경정책의 패러다임 탐색

원문정보

Big Data Analysis for th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olicy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최충익, 김철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has been any significant evolution in such presum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nvironmental issues in terms of time trends. It focuses on how the presumed relationship, which is reflected in the newspaper articles, has changed over the last hundred years (1920~2017). The research employs a big data based approach as a methodology to examine the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from media report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cept of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changed from material into non-material, while the term of 'economy' have been emphasized. I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that the negative aspect of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pollution and contamination have shifted into the positive aspect of that such as technology and chang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lso support that there will be some possibilities of mutual advancement of industry and environment in the future society.

한국어

본 연구는 과거 산업혁명이 고도 위험기술 사회(high-risk technology society)를 양산하며 인간정주환경의 위험요소를 증가시켜왔지만, 첨단과학기술에 기반 한 제4차 산업혁명은 과학기술과 환경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향후 과학기술기반 환경정책의 패러다임전환이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대안적 담론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다룬다. 1920년부터 2017년까지 구축된 빅데이터에 대한 분석결과를 환경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측면에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워드 클라우드 분석 결과 산업혁명의 사회적 인식에서 물리적이고 기계적인 부분은 점차 사라져 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반대로 비물질적인 부분이 강조되고 있었다. 둘째, 연관분석결과 시대에 따라 ‘산업혁명’과 ‘환경’의 단어 연결특성은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산업혁명’이라는 단어가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어의미변화 분석결과 산업혁명과 환경의 조화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과학기술과 환경에 대한 이슈
  2.1. 산업혁명과 기술변화
  2.2. 산업혁명과 환경위험
  2.3. 한국의 산업혁명
  2.4. 패러다임의 변화와 빅데이터
 3. 분석방법론
  3.1. 시간에 따른 언어의미 변화 분석
  3.2.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미변화 분석
  3.3. 분석자료 및 도구
 4. 분석결과
  4.1. 분석개요
  4.2. 워드클라우드 분석결과
  4.3. 연관분석 결과
  4.4. 동적시간왜곡(DTW)
 5.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충익 Choi, Choongik. 강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김철민 Kim, Chulmin. 강원대학교 행정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