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10년대 민중예술논쟁 재고 - 혼마 히사오의 민중예술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thinking the Debate over Popular Arts in 1910s - Focusing on Honma Hisao’s Concept of Popular Arts -

이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ebate over popular arts was the most famous debate in the 1910s, which has impacted the image of the people in modern Japan.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ideas and thoughts of Honma Hisao, who had been neglected in the precedent studies. By opposing Tolstoyism, Honma succeeded to separate the popular arts and liberal arts. It was very innovative for Honma to secure people’s own place in the field of art. Moreover, Honma equally valued the popular arts and belles-lettres. Honma accomplished this because he emphasized the pleasure of art more than art’s inherent beauty. Because Honma was under the influence of William Morris, he affirmed the common people just the way they are. Criticizing Honma, Osugi Sakae, influenced by Romain Roland, belived that the new emerging classes would create the new form of art. However, the idea of ​​Osugi was so ideal that it caused Osugi to deny the popular culture and to ignore the actual people.

한국어

민중예술논쟁은 1910년대를 대표하는 논쟁으로 일본 지식인들의 민중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 선행연구에서는 처음으로 논쟁을 제기한 혼마 히사오를 간과해 왔으나 본 연구는 혼마의 주장에 주목해 그 역사적 의의를 재조명했다. 우선 혼마는 당시 지식인 사이에서 유행했던 톨스토이주의에 대항하여 “민중예술”과 “일반적 예술”을 분리시켰다. 이로써 혼마는 민중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는데 성공한다. 게다가 혼마는 교육을 받지 못 하는 이들의 “민중예술”을 “고등문예”와 동등하게 취급한다. 이처럼 혁신적인 생각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혼마가 예술에 내재하는 가치보다는 예술이 주는 쾌락을 중시했기 때문이었다. 혼마가 이런 주장을 펼친 사상적 배경을 조사해보면 윌리엄 모리스로부터 혼마가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혼마는 윌리엄 모리스의 사상을 수용하여 민중이 즐기는 문화와 예술을 있는 그대로 긍정했던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혼마의 민중예술론에 오스기 사카에가 반발한 이유도 쉽게 이해된다. 오스기는 로맹 롤랑을 번역하며 신흥계급에 의해 새로운 예술이 탄생하는 것에 희망을 걸었다. 그 과정에서 오스기는 민중이 즐기던 기존의 예술을 부정하게 된다. 혼마와는 달리 오스기는 민중을 지나치게 이상화하여 현실의 민중을 도외시했던 것이다.

일본어

民衆芸術論争は1910年代を代表する大論争であって近代知識人たちの民衆論に大きな影響を及ぼした。先行研究では、初めて論争を提起した本間久雄に注目しなかったが、本研究では本間の主張に新たな光を当ててその歴史的な意義を考察した。 まず、本間は、当時知識人たちの間で流行ったトルストイの芸術論を批判して、「民衆芸術」と「一般的芸術」を分離した。これは非常に革新的な出来事で、民衆だけの独自的な領域を本間が確保したことを意味する。さらに、本間は、教育を受けていなかった人たちの「民衆芸術」を「高等文芸」と平等に評価する進歩性も見せた。本間は芸術作品に内在する価値よりは芸術が与える快楽を重んじたために、他の知識人たちと異なる思想を示すことができたのである。その思想的な背景を調べてみれば、本間がウィリアム·モリスから多大な影響を受けたことが分かる。本間はモリスの民衆芸術論を受容して民衆が楽しむ文化や芸術をそのまま肯定したのである。 こうした背景を念頭に置けば、本間の民衆芸術論に大杉栄が反発した理由も理解できる。大杉はロマン·ロランを翻訳しながら、新興階級の作る新しい芸術に希望をかけた。その過程のなかで、大杉は既存の民衆芸術を批判し、否定することになる。つまり、大杉は民衆を理想化し過ぎて、現実の民衆を度外視してしまったのである。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일반적 예술”과 “민중예술”을 구분한 혼마 히사오의 업적
 Ⅲ. 쾌락을 강조하는 혼마의 민중예술론
 Ⅳ. 혼마의 민중예술론에 끼친 윌리엄 모리스의 영향
 Ⅴ. 오스기 사카에의 신흥계급과 혼마의 민중 개념의 차이
 Ⅵ.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이석 Lee, Seok.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비교문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