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브컬처 비평담론과 ‘전후민주주의’ - 오쓰카 에이지(大塚英志)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ubculture Criticism Discourse and ‘the Postwar Democracy’ - Focusing on Eiji Otsuka’s critic discourse -

남상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ow ‘postwar democracy’ was represented in the subculture criticism discourse of Japan since the 90s, through the subculture critic discourse of Eiji Otsuka. The subculture of Japan can be understood as a cultural phenomenon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grand discourse as like history, democracy that accompanies the end of the Cold War. Otsuka not only emphas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it and ‘postwar democracy’, but also positively develops the constitutional Article 9 protection act as the foundation of it. If so, what relevance does Otsuka have with Japanese subculture and post-war democracy? First of all, this article reveals that For the Otsuka in the 1990s, Japanese subculture was a discourse space in which the form of words expressing oneself was recognized and recognized as a place where language democracy was realized. In addition to the attempts to deny post-war democracy like Etō Jun, Otsuka advocated that it contributed to the equalization of society through consumption of symbols, as well as a defensive instrument to control his desire for “whole culture” It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ans. Since the 2000s, Otsuka has opposed the “emotionalization” of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and has been developing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movement, focusing on the concept of Yanagita Konio’s “citizen”. On the other hand, he criticize the contemporary Japanese “consciousness of the crowd”. This shows not only that he is a guardian of democracy after the war, but also that he is assimilated by intellectuals he had criticized in the 1980s. From his current situation, the distance between democracy and Japanese subculture seems to be in the distance.

한국어

이 글은 90년대 이후 일본 서브컬처 비평담론 속에서 ‘전후민주주의’는 어떻게 표상되었는지를, 서브컬처 비평가 오쓰카 에이지(大塚英志)를 통해서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일본 서브컬처는 냉전의 종식에 따른 거대담론의 해체 이후의 문화적 현상으로서 이해되곤 하는데, 오쓰카는 그것과 ‘전후민주주의’와의 관련성을 매우 강조할 뿐만 아니라 그것의 기반이 되는 헌법 9조 수호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가게 된다. 그렇다면 오쓰카에게 일본 서브컬처와 ‘전후민주주의’는 어떤 관련성을 갖는 것일까.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이 글에서는 먼저 90년대 오쓰카에게 일본 서브컬처란 스스로를 표현할 말의 형식을 찾는 담론공간이자, 말의 민주주주의가 실현된 장소로서 인식되고 있었음을 드러낸다. 나아가 에토 준처럼 ‘전후민주주의’를 부정하려는 시도들에 대해, 오쓰카는 그것이 기호 소비를 통한 사회의 평등화에 기여했다고 옹호할 뿐만 아니라, ‘전체문화’를 지향하는 자신의 욕망을 제어하는 방어기재로서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인식되고 있음을 드러낸다. 2000년대 이후 오쓰카는, 현대 일본인들이 감정에 휘말리는 모습에 반발하며, 야나기타 쿠니오의 ‘공민’이라는 개념에 착목하여 헌법 수호 운동을 전개해 나가는 한편, 현대 일본인들의 ‘군중의식’을 비판한다. 이는 그가 명실상부한 전후민주주의의 수호자임을 보여주는 한편, 80년대 그가 비판했던 대중과 유리된 지식인에 동화되어가는 모습으로도 비춰진다. 이러한 그의 모습에서 현대 일본의 민주주의와 서브컬처의 거리를 엿볼 수 있다.

일본어

本稿は、90年代以降日本サブカルチャー批評言説の中において「戦後民主主義」はどのように表象されたかを、サブカルチャー批評家大塚英志を介して考察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 日本のサブカルチャーは、冷戦の終息に伴う「大きな物語」の解体以後の文化的現象として理解されることがあるが、大塚の場合、それと「戦後民主主義」との関連性を非常に強調するだけでなく、それに基づいている憲法9条守護活動を積極的に展開していくことになる。では、大塚にとって日本のサブカルチャーと「戦後民主主義」はどうかかわるのか。 こうした問題意識の下で、本稿では、まず、90年代の大塚にとって日本のサブカルチャーとは自らを表現する言葉の形式を見つける談話スペースであり、言葉の民主主義が実現された場所として認識されていたことを浮き彫りにする。さらに江藤淳のように「戦後民主主義」を否定しようとする知識人に対し、大塚はそれが記号消費を通じた社会の平準化に寄与したとし擁護するだけでなく、「全体の文化」を目指す自分の欲望を制御する防御基材として効果的な手段として認識されていたことを確かめる。 2000年代以降大塚は、現代日本社会が「感情化」することに反発し、柳田国男の「公民」という概念に着目して、憲法守護運動を展開していく一方で、現代日本人の「群衆の意識」を批判的にとらえる。このことは、彼が名実共に戦後民主主義の守護者であることを示す一方で、80年代に彼が批判していた大衆と遊離された知識人にやや同化されていくとも見受けられる。こうした彼の現状から、現代​​日本の民主主義とサブカルチャーの距離がうかがえると思われる。

목차

<요지>
 Ⅰ. 서브컬처와 ‘전후민주주의’
 Ⅱ. ‘말의 민주주의’로서 ‘전후민주주의’
 Ⅲ. 에토 준의 ‘전후’인식에 대한 비판과 계승
 Ⅳ. ‘공민’의 발견과 ‘토인’, 그리고 ‘원숭이’로서의 일본인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남상욱 NAM, Sang-wook. 인천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조교수, 표상문화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