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8-19세기의 환동해지역과 하코다테(函館)의 공간위상

원문정보

East Sea Rim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A space phase of Hakodate

김석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pening of the Port of Hakodate was not an event that occurred by chance, but the culmination of a long-standing desire harbored by 18th-Century Western imperial powers—completing the map to navigate the entire world with the East Sea Rim, the last waterway unknown and inaccessible to them. It was a period in which the Western imperial powers focused their energy into expanding their political and economic influences—Russia turned its eyes to Siberia, Britain was transforming Asia into its markets, and the United States was continuously pushing its borders, and its influence, toward the West. Their pursuit of geographical expansion converged in Hakodate, the coastal town in the northernmost region of Japan and the remotest border region of the world, instantly transforming it into one of Japan’s “open” ports and the northern fort of the shogunate. The modern history of Hakodate is largely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the 1868 Meiji Restoration. It is ironic that Hakodate saw its highs as a center of cultural exchange and diversity between 1854 and 1868, after the port was “forced” open by the “invasion” of the Western imperial powers. With the arrival of the Restoration, Hakodate, however, turned into a center of cultural violence such as the forced assimilation of the indigenous Ainus. Ironically, Hakodate emerged on the international stage and acquired the “globality” precisely for its remote border location on the northern boundary of the East Sea Rim. Although the port city symbolizes the oppressed who were forced to open themselves up to the outside world, it also carries its own history of coercion and oppression. In this context, the port city Hakodate possessed both the quality of a remote border region from the global perspective as well as the quality of a central region within the boundaries of its borders.

한국어

하코다테의 개항은 어느 날 갑자기 일어난 우발적 사건이 아니라 환동해지역(East Sea Rim)의 지도를 완성하고자 했던 서구의 오랜 욕망의 결과였다. 하코다테를 무대로 하여 서구문명사의 커다란 몇 갈래의 흐름이 만나게 되었다. 러시아의 시베리아 개척, 영국의 아시아 시장 활로 개척, 미국의 서부개척의 연장선이 모두 하코다테를 향했던 것이다. 18세기를 전후하여 서구열강의 에너지가 환동해지역에 집중되면서, 북방 경계지역에 위기의식을 느낀 에도막부는 마쓰마에 번을 강화하였고 그런 에도막부의 거점으로 하코다테가 부상하였다. 일본 북방 경계지역의 중심이 된 하코다테는 아이누를 포섭하고 착취하는 거점이기도 했다. 미일화친조약(1854) 이후의 하코다테는 하코다테 전쟁(1868-1869)과 메이지유신(1868)을 거치면서 보다 철저한 식민지 정책과 동화정책을 학습하게 된다. 선주민이던 아이누는 일본인으로서의 위상을 획득한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상하관계가 존재하는 정체성 사슬에서 내부식민지에 속할 수밖에 없었다. 하코다테의 위상과 아이누의 위상이 그 궤를 달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코다테는 일본이 서구의 제국주의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홋카이도라는 실험실을 관리하는 거점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하코다테는 전지구적 의미에서의 변경성과 그 변경 내부에서의 중심성을 동시에 지닌 공간이었다.

일본어

ロシアのシベリア開拓、英国のアジア市場への活路模索と確保、アメリカの 西部開拓というそれぞれの西欧列強のエネルギーが環東海地域に向かった18世紀を前後にして、辺境であった日本の北部、その中心地の函館は、開港場、または幕府の北部拠点として浮上した。 日米和親条約以降の函館は、函館戦争(1868-1869)と明治維新(1868)を経て、より徹底的に内部植民地政策と同化政策を経験することになる。そして周知の通り、先住民のアイヌ民族は、日本人としての位相を獲得したかように見える。しかし、上下関係が前提になっているかぎり、その位相の変化があったとは言えないものであった。函館の位相とアイヌの位相とはその軌を異にしていたのである。すなわち、函館は日本が欧米の帝国主義を受容する過程において、北海道の実験室を管理するための拠点であった。そういう意味で、函館は全地球的な意味での辺境性とその辺境内部での中心性とを同時に持つ都市であったといえよう。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변방의 변경, 내부 식민지의 중심
 Ⅲ. 하코다테전쟁과 그 이후
 Ⅳ. 시베리아 개척의 종착점
 Ⅴ. 서부개척의 연장선
 Ⅴ. 대중국관계의 베이스캠프
 Ⅶ. 맺음말-하코다테의 공간성과 의미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김석희 Kim, Seok-hee.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HK연구교수, 근현대일본어문학 및 환동해지역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