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생활용품 및 어린이제품 안전관리 법제도 변화 및 주요 이슈 조사, 효율적 안전관리정책 방안 모색 : 상생과 소비자지향적 관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earch for Methods of Planning Effective Consumer Safety Management Policy, Investigation for Change on Safety Act and Major Issue Relating Consumer Products and Children’s Products : Based on Coexisting and Consumer-Oriented View

허경옥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14권 2호 2018.06 pp.1-19

doi:10.15790/cope.2018.14.2.00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major issues and contents related to the safety of household goods and children's products, and devised effective safety management policy. Also, we analyzed the difference of consumers' perceptions and need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according to the major issu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legislation on product safety management. In addition,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consultations with consumers, consumer groups, business operators, consumer experts, and safety management officers on changes and major issues related to product safety management and sought to establish a consumer-oriented product safety management law syst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consumers' awareness of strengthening safety certification of household goods is not a resident of Seoul or metropolitan area. In the case of the unemployed, it was positive. In addition, the lower the age of women, the lower the marital status and the experience of industrial product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awareness of strengthening the safety certification of apparel products for workers working in factory manufacturing. In the case of women, married children, and youngest children, the perception of strengthening the safety certification of children's products was positive when it was not factory or manufacturing workers.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cceptance of price increase due to KC safety certification, household goods showed higher age, higher household incomes, and more acceptance than college graduates. In the case of children's products, it was found that the older the married person, the younger the aged, the more experienced the graduate, the worker, On the other hand, the mandatory disclosure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by mall operators and importers is positive when they do not liv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when there is no experience of marriage or industrial damage. Also, the demand for post - safety enhancement of the product was found to be high in married and factory manufacturing workers.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rection of product safety management policy through in - depth interview, it was suggested that the paradigm shift of consumer safety policy, that is, consumer - oriented safety policy is urgent. Consumer safety is a priority, but a balanced product safety management policy that does not raise consumer prices is necessary.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it is necessary to simplify safety certification process of product, to give safety certification by only product test, to reduce regular inspection cycle, and to shorten safety certification time. In addition,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it is not necessary to regulate the everyday life products such as clothes to have the same certification duty as the electric appliances that are directly connected with fire or other human accidents. Finally, there are many claims that it should be shifted from pre-safety management to post-safety management-oriented safety management policy. To this end,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it wa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defects in product defects, reinforcement of collective injury relief, and punitive damages system.

한국어

본 연구는 생활용품과 어린이제품의 안전확보와 관련한 주요 이슈 및 내용 파악, 효율적 안전 관리정책 방안을모색하였다. 또한 최근 제품안전관리 법제도의 변화에 따른 주요 이슈별로 소비자의 인식 및 요구에의 영향 요인을 조사․분석하였다. 게다가 제품 안전관리관련 변화 및 주요 이슈들에 대해 소비자, 소비자단체, 사업자, 소비자전문가, 안전관리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및 자문회의를 수행하여 소비자지향적 제품안전관리 법제도구축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귀분석결과에 따르면 생활용품의 안전인증강화에 대한 소비자인식은 서울․수도권 거주자가 아닌 경우. 미취업자의 경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연령이 낮을수록, 기혼자, 공산품피해경험이 없고, 공장제조업에 근로하는 근로자의 경우 의류제품의 안전인증강화에 대한 인식 수준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기혼자, 막내자녀가 어린 경우, 공장․제조업 근로자가 아닌 경우 어린이제품의 안전인증강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었다. 둘째, KC안전인증으로 인한 가격상승에 대한 수용도를 조사한 결과 생활용품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가계소득이 높고, 대졸인 경우 보다 더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제품의 경우 기혼자, 막내 연령이 많을수록, 대졸, 취업자, 공산품피해경험이 있는 경우 KC 인증으로 인한 가격상승을 더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쇼핑몰업자․수입업자의 인증정보 공개의무화에 대해서는 서울수도권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 기혼, 공산품피해경험이 없는 경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의 사후안전강화요구는 기혼자와 공장제조업 근로자의 요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층면접을 통해 제품안전관리 정책의 방향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안전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즉 소비자지향적 안전정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대세였다. 소비자안전확보를 우선으로 하되 소비자가격 상승이 되지 않는균형 있는 제품안전관리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제품의 안전인증 절차간소화, 제품시험 만으로 안전인증부여, 정기검사 주기 완화, 안전인증 소요시간 단축을 꾀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의류와 같은 일상생활제품에 대해 화재 등 인명사고로 직결되는 전기용품과 동일한 정도의 인증 의무를 갖도록 규제할 필요는 없다는의견이 많았다. 끝으로, 사전안전관리에서 사후안전관리 중심의 안전관리 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많았다. 이를 위해 제조물결함책임, 집단피해구제 강화, 징벌적 배상제도의 적극적 활용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견해도 많았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생활용품과 어린이제품안전 관련 법제도 및 주요이슈
  1. 생활용품 안전 관련 법제도
  2. 어린이제품안전 관련 법제도
  3. 제품안전관리의 주요 이슈와 소비자지향성
 Ⅲ. 연구방법 및 자료분석
  1. 자료수집방법
  2. 자료 분석방법
  3. 변수 측정방법
 Ⅳ. 결과 및 해석
  1. 조사대상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
  2. 소비자들의 제품안전인증에 대한 인지 및 요구
  3. 생활용품, 의류, 어린이제품 안전인증강화에 대한 소비자인식 영향요인 회귀분석 결과
  4. 생활용품, 의류, 어린이제품의 가격상승에 대한 소비자수용 영향 요인
  5. 안전인증정보공개, 사후안전관리강화에 대한 소비자 요구 영향요인 분석
  6. 심층면접 및 자문조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경옥 Huh, Kyungok. 성신여대 소비자생활문화산업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