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패배’의 사상과 대중의 발견 - 60년 안보투쟁과 요시모토 다카아키 -

원문정보

Thoughts of Defeat and the Discovery of Mass : The Struggle against US-Japan Security Treaty and Takaaki Yoshimoto

조정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ruggle against US-Japan Security Treaty(security struggle), which took place between 1959 and 60 years, is considered a watershed that ha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direction of party politics, policies, and civic movements. But the long silence of the civic movement that followed the security struggle gives us an idea of the unlimited distance between citizens and democracy. The post-war economic development of Japan created a citizen who was indifferent to politics, which resulted in the civic movement losing its momentum. That means democracy is left somewhere in Japanese society. Takaaki Yoshimoto did not interpret the security struggle as a concept of nationalism or democracy. He saw the security struggle as a popular life crisis caused by the exploitation of monopoly capital, and the reason why the security struggle failed was because the revolutionary situation in the public has lost its impetus under a stable economic foundation. His view was to see not only Japan at the time of the security struggle, but also the current flow of Japanese society after that. The public today does not allow any ideology or ideology in their daily lives, and is creating a new depth called daily life. Reconsidering the postwar conflicts between the public and the people and the ideology of Yoshimoto in the 1960s also gives a strong hint to the exploration of the ideological topography of modern Japanese society.

한국어

1959-60년에 일어난 미일안보조약개정 반대 투쟁(이하 안보투쟁)은 정당 정치와 정책, 그리고 시민운동의 방향에 큰 변화를 가져온 분수령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안보투쟁 이후에 오랫동안 이어진 시민운동의 침묵은 시민과 민주주의 사이의 무한한 거리를 짐작하게 만든다. 전후 일본의 경제 발전은 결과적으로 정치에 무관심한 시민 주체를 만들고 말았고 시민운동 역시 그 추동력을 상실한지 오래 되었다. 본고에서 다룬 요시모토 다카아키는 안보투쟁을 민족주의나 민주주의라는 개념으로 해석하지 않았다. 그는 안보투쟁을 독점자본의 착취로 인한 대중 생활의 위기로 인식하였고, 안보투쟁이 실패한 이유도 안정적인 경제 기반 하에서 대중의 혁명적 정세가 추동력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라 보았다. 이러한 그의 관점은 안보투쟁 당시의 일본은 물론이고 그 이후의 현대 일본 사회의 흐름마저도 간파하는 것이었다. 오늘날의 대중은 그들 생활 세계에 좌와 우, 보수와 혁신과 같은 어떠한 이념이나 이데올로기도 허락하지 않으며 일상이라는 새로운 심층을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전후의 대중과 생활, 그리고 이념의 격투를 요시모토의 1960년대 사상으로 성찰해 보는 작업은 현대 일본 사회의 사상 지형 탐구에도 커다란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1. 머리말
 2. ‘자기기만’이라는 사상
 3. ‘대중=생활자’란 존재 혹은 ‘정치적 무관심’의 힘
 4. ‘패배’라는 해방 - 맺음말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조정민 Cho Jung-min. 부경대학교 일어일문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