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Dance is a form of synthetic art that encompasses visual and auditory senses. The component of music is considered an inseparable artistic companion to dance performance. In a sense, a dancer in practice is continuously exposed to a series of structured sounds in the form of music. Thus, in this research, we have quantified the students’ exposure to environmental noise in terms of sound level and exposure time in professional dance classes in college setting. The potential damage to the students’ hearing capacity is explored. Sound meter was employed during dance class in S university in order to measure the sound level and exposure time during class sessions. The result was obtained for each subset of dance major, and was compared to the standard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OSHA) Standards.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noise during one session of professional dance class does meet the OSHA standards for occupational noise environment. However, with the accumulation of class hours, the total level of exposure may lead to hearing loss. Considering that the usage of hearing protection as in other occupational setting is practically impossible during dance practice, an active construction of guidelines for recording and playing music for professional dance majors is necessary.
한국어
무용은 시각과 청각을 아우르는 종합예술로서 음악은 별개로 생각할 수 없는 예술적 동반자로 이해할 수 있으며, 무용을 하는 동안 음악이라는 형식을 지닌 소리에 노출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교 무용학과 전공수업을 대상으로 음량 및 폭로시간을 측정하여 청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음 환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소음측정기를 이용하 여 S대학 무용학과에서 진행되는 실기수업을 대상으로 소리의 크기와 노출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세부전공별로 나누어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OSHA)의 소음역치기준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연습실에서 무용 전공생이 노출된 소음환경은 단일 수업시간에 있어서는 작업장 소음기준에 적합하지만, 수업시간이 누적될 경우 청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산업현장 근로자와 달리 차폐가 어려운 무용예술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음악을 연주, 재생함에 있어 무용수의 청력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실험대상
2. 측정도구
3. 실험과정
4. 자료처리
III. 결과
1. 세부전공별 수업의 소음 크기
2. 소음역치기준과의 비교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