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치경찰제 도입방안과 법안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Korea Municipal Police System

전희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1945, there has been a single Public Security System, the National Police, in Korea. The police have continued to innovate themselves in an effort to expand their positive roles of problem solver, but there is still a matter of debate to maintain a centralized police system and introduce municipal police establishment. As it is more rapidly changing public security environment in the 21th century, the people need more advanced and better services from the police. So, we have made studies many developed countries' public system such as Unite Kingdom, United States of America, Japan, France, Spain and Italy. In 2004, our government decided to set up municipal police and made a plan "local residents-oriented municipal police". We focused on keeping the public peace and improving the security service. According to a introduction plan, Municipal police belong to a mayor, a county governor and the district leader of borough. And Municipal police have the responsibility for maintaining the local community and give very friendly services. We made a municipal police bill and brought in the National Assembly in November 2005. From that day on, the municipal police bill has been discussed actively among the assembly members. If a bill passes, there might be generating positive influences in Korea. We anticipate the success of municipal police and more people feel better safe in community.

한국어

해방 이후 많은 세월 동안 무성한 논의만 진행되어 왔던 자치경찰제도가 드디어 첫 실시를 위한 준비단계에 들어서고 있다. 반세기 이상 강력한 중앙집권적 경찰 제도를 유지해 오던 우리나라에서 지역주민의 의사에 의해 지역의 치안을 유지하는 자치경찰제 도입은 국립경찰사 뿐 아니라 지방자치사에도 큰 의미를 가진다 할 것이다. 일단 자치경찰제를 도입하기로 방침을 세우고 각계의 의견을 모은 ‘주민생활 중심의 자치경찰제’가 본연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자치경찰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는 것 외에도 시범실시와 문제점 보완 등을 통해 우리여건에 적합한 제도로 만들어 나가는 것이 향후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이제까지의 논의를 토대로 국회 제출된 자치경찰법안의 국회 통과 및 자치경찰제도의 성공적 시행에 앞서 우리 모두가 같이 생각해야 될 것을 짚어 본다면, 첫째, 자치경찰의 도입이 지역 치안에 대한 ‘상호 책임의 분담’이라는 인식을 명확히 하고,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이 보다 편안한 지역 치안을 유지하기 위해 상호 협력과 노력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또한, 자치단체장도 자치경찰이 ‘권한의 확대’가 아닌 지역주민에 대한 ‘봉사 범위 확대’라는 인식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자치경찰제가 새로이 도입되는 제도인만큼 한 편으로 치우친 낙관이나 비관은 멀리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자치경찰법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난 이후부터는 새로운 지방자치와 자치경찰 제도가 ‘출발’하게 되는 만큼, 시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부작용을 부단히 찾아내고 보완해 가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기존 논의과정
  1. 참여정부 이전까지의 논의과정
  2. 참여정부에서의 추진경과
 III. 자치경찰제 도입 필요성
  1. 지방자치의 종합행정성 제고로 온전한 지방자치 구현
  2. 주민과 함께하는 친근한 자치경찰상 정립
  3. 주민의사와 지역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안서비스' 제공
  4. 체감치안 개선 및 국가 전체적인 치안역량 강화
 IV. 자치경찰제 도입방안 주요 내용
  1. 법안 제정의 기본원칙과 방향
 V. 자치경찰법안의 주요내용
  1. 법안의 주요 내용
 VI. 자치경찰 도입에 따른기대효과
  1. 주민들은 지역사회에 적합한 경찰을 갖게 된다.
  2. 지방자치단체는 책임성 있는 자치행정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3. 경찰은 상호경쟁을 통해 보다 나은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4. 결국, 주민생활이 보다 안전해지고 삶의 질이 높아질 것이다.
 VII. 결론
 

저자정보

  • 전희재 Hee Jae Chun. 행정자치부 자치경찰제실무추진단장(Ph. D. 행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