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여성의 감성지능과 여가적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Quality of Leisure Life

조현주, 홍상욱, 남승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ata collected from 415 women including general housewiv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 A frequency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analysis model, Sobel-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emotional intelligence, self - efficacy, and leisure qual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quality of leisure life, it shows that there is a meaningful static direct effect. When women 's emotional intelligence was high,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leisure life increas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isure quality of life, it was found that self - efficacy had a statistically in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eisure life. Thus, it was verifi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한국어

본 연구는 여성의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여가적 삶의 질을 변인으로 설정하여 감성지능과 여가적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D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원생을 포함한 20대에서 60대에 분포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일반주부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415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모형분석,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여가적 삶의 질의 세 변인의 독립성과 관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를 산출해 본 결과,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여가적 삶의 질은각각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감성지능이 여가적 삶의 질에 미치는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정적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의 감성지능이 높을 때, 여가적 삶의 질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성지능과 여가적 삶의질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살펴 본 결과, 자기효능감이 여가적 삶의질에 정적으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여성의 감성지능은 여가적 삶의 질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미치지만,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였을 때 여성의 여가적 삶의 질은 더욱 크다는 것을의미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감성지능
  2. 자기효능감
  3. 여가적 삶의 질
  4.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여가적 삶의 질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여가적 삶의 질의 정도
  2. 측정변인의 상관관계 분석
  3. 측정모형 분석
  4. 구조모형 검증
 Ⅴ. 결론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현주 Cho, Hyun-Ju. 영남대학교 대학원 한국여성리더십학과 석사
  • 홍상욱 Hong, Sang-Ook.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족주거학과 교수
  • 남승미 Nam, Seung-Mi.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 가족상담복지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