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여행주간제도 정책상황인식, 정책지지, 정책수용과의 구조적 관계연구 - 경상남도 봄여행주간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olicy Situation Perception, Policy Support, and Policy Acceptance during Travel Week : Focusing on the Spring Travel Week in Gyeongsangnam Province

양진연, 고계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situation perceptions, policy support and policy acceptance during travel week.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family members, in Gyeongsangnam Province. 1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27(84.66%) were used as final data. Analysis of the results used the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First, Hypothesis 1 was adopted because the policy situation percep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policy support. Second, Hypothesis 2 was rejected because the policy situation perception did not form a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with policy acceptance. Third, Hypothesis 3 was adopted because policy support has a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with policy acceptance. The travel week system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domestic travel and it is the will of the government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regards to leisure, of the people, and the structure of the domestic tourism market through activation of domestic travel.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travel week system is low.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polic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recognition of the policy situation and the support of the policy should go through.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reinforce publicity of travel week and it is once again emphasized that public support should be based on policy acceptan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여행주간제도 정책상황인식과 정책지지, 정책수용과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경상남도 가족단위 거주민이며, 조사기간은 경상남도 봄 여행주간인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로 설정하였다. 조사방법은 설문기법으로 150부를 배부하고 127(84.66%)부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SPSS 21.0프로그램과 AMOS 21.0프로그램을 활용한 분석결과 첫째, 여행주간제도정책상황인식은 정책지지와 긍정적 영향관계가 형성되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둘째, 여행주간제도 정책상황인식은 정책수용과 긍정적 영향관계가 형성되지 않아 가설 2는기각되었다. 셋째, 여행주간제도 정책지지는 정책수용과 긍정적 영향관계가 형성되어가설3은 채택되었다. 여행주간제도는 국내여행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국내여행 활성화를 통하여 국민의여가가 있는 삶 향유와 국내 관광시장 구조를 개선하고자하는 정부의 의지라고 할 수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하여 국민의 여행주간제도에 대한 인식수준이 낮은 것으로나타났으며 정책을 수용하는 과정에는 정책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지와 정책지지라는과정을 거쳐야 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정부는 여행주간제도에 대한 홍보를 더욱 강화 할 필요가 있으며 정책을 수용하는 과정에 있어 공중(public)의 지지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인식하길 바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여행주간제도
  2. 정책상황인식, 정책지지, 정책수용
 Ⅲ. 연구방법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척도
  2. 조사절차 및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측정변수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3. 측정척도의 단차원성 평가와 측정모델의 평가
  4. 가설의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진연 Yang, Jin-Youn. 경남대학교 경상대학 관광학부 조교수
  • 고계성 Ko, Kye-Sung. 경남대학교 경상대학 관광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