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ntiques Matters: Chinese Bronzes in Chang Sŭngŏp’s Paintings of Antiques and Flowers

원문정보

장승업의 器皿折枝圖에 담긴 조선후기 중국 청동기 수장문화

장승업의 기명절지도에 담긴 조선후기 중국 청동기 수장문화

Lee, Ja Wo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ang Sŭngŏp established the distinct genre of paintings featuring Chinese bronze vessels, inkstones, fruit, and auspicious flowers with the support of affluent patrons of the cultural elite.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Chinese antiques in Chang Sŭngŏp’s paintings of antiques and flowers in the collection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rends in appreciating and collecting Chinese antiquities generate a new fashion of presenting such antiquities in late Chosŏn paintings. Chang Sŭngŏp particularly rendered certain types of bronzes, namely Xuande-type censers and ding vessels, in response to the aspirations of the newly-emerging chungin collectors in the nineteenth-century Korea. While Chang Sŭngŏp’s paintings of antiques and flowers functioned as a means to disclose patrons’ cultural sophistication, they most likely served as surrogates for real collecting.

한국어

이 논문은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에 소장중인 장승업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유행했던 중국 골동품 收藏文化가 器皿折枝圖 제작에 미친 영향과 중국 청동기가 지니는 의미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후기 문인 문화를 羨望했던 중인계층은 중국의 골동품을 실제로 수집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런 收藏文化가 유행하던 분위기 속에서 중국 청동기는 祭器에서 玩賞의 대상으로 그 기능이 확장되었다. 장승업은 19세기 말 중국 청동기와 화훼를 주요 소재로 器皿折枝圖라는 회화장르를 개척하였고, 器皿折枝圖의 주요 청동기 소재로 鼎形 향로와 明 宣德 향로를 사용하였다. 이 청동기들은 당시 중인계층의 수장가들이 매우 선호하던 종류의 수장품이었고, 그들의 문화적 세련미를 드러내는 수단으로써 기능하였다. 장승업의 器皿折枝圖는 실제 수장품을 그리거나 변형하여 표현했는데, 이로 인해 중국 古銅器의 실제 收藏에 대한 代用品으로 이용되기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후기 중인계층의 중국 청동기에 대한 관심과 수장문화가 당시 회화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장승업의 器皿折枝圖를 통해 알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Introduction
 Ⅱ. The Encounter with Chinese Antiquities
 Ⅲ. The Representation of Chinese Bronzes
  1. Xuande Censer
  2. Ding Vessels
 Ⅳ. Conclusion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Lee, Ja Won 이자원. The University of Hong Kong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