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체별로 본 剛菴의 서예

원문정보

Gangam's calligraphy works

서체별로 본 강암의 서예

장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angam Song Sung-yong(1913-1999) preserved the life of the Confucian during his lifetime against the Revolutionary Revolution and the Renunciation of the Japanese Empire. He was the last scholar of the 20th century who succeeded the traditional scholarship and sublimated the spirit of the times into art. Gangam integrated modern painters and calligraphers, school ties along with Yulgok(Lee lee)-Ganjae(Jeon woo)-Yoojae(Song Gi-myeon), on the line to Changam(Lee sam-man)-SeokJung(Lee jung-jik)-Yoojae, Backwards Kooyangsoon . Hwangjunggyun . Zaha(Shinwi) . Chusa(KimJeong-hee) and Iljoo(Kim Jin-woo)-Youngwoon(Kim Yong-jin)-Sulsong(Choi Kyu-sang). In particular, Gangam established the artistic world of Gangam by expressing the realities of the arts and the arts which had been refined until the middle of the age, based on the idea of 'Out with a new'. I analyzed the world of various calligraphy of Gangam by writing style. '篆書'of Gangam is mixed paintings and the goldsmith period mood of 金文, the strict and smooth molding of '小篆', the grand ornamental writing and font of '碑學', the beauty of '蒼勁古拙' stand out. '隸書' is a continuous process of magnetization, condensed energy of 枯淡, and cleared the high resolution of the sunshine. the beauty of ‘苦澁淸虛' stand out. '楷書' is based on a fair and good standard, covered the fluent and steady weather and experienced writing of occult arts, and formed artless unworldy beauty of '瘦拙平淡'. '行草書' has taken the strengths of the past generations and established the spirit of '瘦硬通神'. It has realized the beauty of '蒼勁拔俗' by returning to the essence of calligraphy nature beyond the boundaries of deceit and beyond the extreme of myoism. Gangam has been studying the calligraphy materials of Gogum based on the ‘溫故知新‘ of Confucius and the ‘詳察古今‘ of Wang Huiji, and the ‘實事求是‘ of Kim Jung-hee. He created his own unique steel body.

한국어

剛菴 宋成鏞(1913-1999)은 일제의 단발령과 창씨개명에 항거하며 평생 儒者의 삶을 지켜온 그는 전통적인 학문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정신을 예술로 승화시킨 20세기의 마지막 선비이자 서화가이다. 강암은 栗谷(李珥)―艮齋(田愚)―裕齋(宋基冕)로 이어온 학맥과, 蒼巖(李三晩)―石亭(李定稷)―裕齋 등으로 계승된 예맥 위에, 거슬러 歐陽詢 ․ 黃庭堅 ․ 董其昌 ․ 紫霞(申緯) ․ 秋史(金正喜) 등 역대 제가들과 아래로 一洲(金振宇) ․ 潁雲(金容鎭) ․ 雪松(崔圭祥) 등 근대 서화가들을 통섭하였다. 특히 선친 裕齋가 일생동안 학문과 예술의 이념으로 삼아 온 ‘舊體新用’론에 입각하여 장년기까지 갈고 닦은 학문과 예술의 실질을 사회적으로도 발현하여 강암은 自得의 예술세계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강암의 다양한 서예세계를 서체별로 분석하였다. 강암의 전서는 金文의 회화적이면서도 주경한 금석기의 맛과 웅혼한 기상, 小篆의 엄경하고 방정한 조형과 유려한 필세, 碑學의 웅혼한 필획과 자형이 혼융되어 있어서 ‘蒼勁古拙의 미’가 두드러진다. 예서는 끊임없는 자기화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枯淡한 기운이 응축되어 고졸하면서도 맑은 기운이 감도는 ‘苦澁淸虛의 미’가 두드러진다. 해서는 방정하고 수려한 규범을 토대로 풍윤하고 굳건한 기상과 비학의 험절한 서법 등을 두루 섭렵하여 무기교의 탈속적인 ‘瘦拙平淡의 미’를 형성하였다. 행초서는 역대 제가들의 장점을 두루 취하여 瘦硬通神의 기풍을 갖추었고, 공교의 극치를 넘어 탈속의 경계와 천취자연의 서예본질로 회귀함으로써 ‘蒼勁拔俗의 미’를 구현하였다. 강암은 공자의 溫故知新과 왕희지의 詳察古今과 김정희의 實事求是와 송기면의 舊體新用에 입각하여 고금의 서예자료를 섭렵하고, 그 용필과 체세에 대해 면밀히 규찰하고 체득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강암체를 창출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강암 墨迹의 현황
 Ⅲ. 강암 墨迹의 서체별 특징
  1. 篆書
  2. 예서
  3. 해서
  4. 행초서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지훈 Jang Ji-hoon. 경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