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春秋戰國ㆍ漢代 繪畵의 筆墨法에 觀한 考察

원문정보

A Study of Brush Strokes and Ink usage in Chinese Art - Chinese Paintings during the Warring States and the Han

춘추전국ㆍ한대 회화의 필묵법에 대한 고찰

김선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ssence of Chinese art history and theories are hinged on how to use brushes and ink (bimofa 筆墨法) which highlight the dynamic flow of qi 氣 (vital energy) ( qiyun shengdong 氣韻生動). This paper explores the usage of brushes and ink during the Warring States and the Han, the formative stages of Chinese art. Silk painting and murals in the tombs of the periods will be analyzed to meet the purpose of this paper. Most of the art historians hold that the first stage of Chinese art starts at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put the Spring and Autumn, the Warring States, and the Han in the same category. Even so, there has been no paintings which fall into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earliest paintings such as “Renwu long feng bohua” 人物龍鳳帛畵 and “Renwu yu long bohua” 人物御龍帛畵 blong to the Warring Stage period. The Western Han paints includes “Caihui bohua” 彩繪帛畵 which was founded in tomb no.1 at Mawangdui 馬王堆, and “Shanglinyuan xun shou tu”上林苑訓獸圖 and “Cai hua zhuan renwu tu” 彩畵塼人物圖 which are found at Balita 八里台, Luoyang 洛陽. the Eastern Han painting includes “Guanyuan renwu tu” 官員人物圖. This paper will be focused on the aforementioned paintings. The aforementioned paintings have not studied until recently mainly because they are unearthed several decades ago and few scholars paid good attention to them. This is why most studies of Chinese art history are limited to the periods between the WeiJin 魏晉 and the Qing 淸 without full attention to the earlier periods. This meas that there have been no enough previous studies on Chinese art before the WeiJin period. Recent years witness the increase in studies of early Chinese art thanks to the new findings of paintings in the tombs. In other words, the newly unearthed paintings have enabled art historians to understand the usage of brush storks and ink during the early periods. Also, the newly discovered paintings provide a better and clearer picture of the changes and links of the usage of brushes and ink over time. The main achievem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below. The first stage of Chinese painting (i.e., the paintings of the Spring and Autumn, the Warring States, and the Han) already embraces the brush technique (bifa 墨法) of baimiaofa 白描法 (drawing with lines) which has formed the very characteristic of later Chinese paintings. It should be noted that one stroke painting (yibihua 一筆畵) such as Gaoguyousimiao 高古遊絲描 are already developed during the first stage. However, the ink technique (mofa 墨法) was not developed during the first stage. This is mainly because the early stage valued practical paintings without much attention to artistic values. This means that Chinese painting which put more weight to the brush technique has started at the first stage of Chinese art and this tradition has continued to the Tang 唐. During the Tang dynasty, the ink technique was developed and became a essential part of Chinese art. The Yuan dynasty witnessed the blooming of literati paintings (wenrenhua 文人畵) which demonstrated the artistic skills which were developed during the first stage of Chinese art. In sum, the Spring and Autumn, the Warring States, and the Han already developed the brush and ink techniques which have become the basic skills of Chinese paintings.

한국어

東洋藝術史와 藝術論의 근간은 氣韻生動을 중심으로 한 筆墨法에 있다. 동양예술의 첫 단계에 해당하는 春秋戰國・漢代의 필묵법에 대하여 그 경향성을 살펴보는 것이 본 小考의 목적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한 연구범주는 春秋戰國・漢代의 帛畵와 壁畫이다. 현재 학계에서 춘추전국・한대를 동양예술의 제1단계로 설정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밝혀진 작품으로는 춘추시기의 것은 아직 볼 수 없으며 전국시대 초・중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이는 <人物龍鳳帛畵>와 전국시대 중・후기로 보이는 <人物御龍帛畵>가 전한다. 漢代는 西漢의 馬王堆 1号墓 출토의 <彩繪帛畵>가 있으며, 洛陽 八里台 출토의 <上林苑訓獸圖>와 <彩畵塼人物圖>가 있다. 東漢의 작품으로는 河北 望都 1号墓 출토의 《官員人物圖》 가 있다. 본 小考에서는 이 작품들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동시에 연구범주로 하였다. 위의 작품들은 모두 무덤 부장용의 그림들이어서 그동안 세간에 늦게 알려진 탓에 동양예술론은 魏晉南北朝 이후로 淸代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된 반면 춘추전국・한대는 연구 성과가 많지 않았다. 따라서 위진시기 이전의 회화예술에 대한 선행연구는 거의 희박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에서 고대의 많은 고분들이 발굴됨으로써 춘추전국・한대의 필묵법들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당시 주된 필묵법에는 어떤 것이 있었는지, 또 시대조류에 따른 필묵법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후대의 필묵법과 예술론과는 어떤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하여 위와 같은 범주 안에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양회화예술의 제1단계였던 춘추전국・한대의 회화는 筆墨法에 있어서 이미 후대에 펼쳐질 白描法의 前身이 되고 있었으며, 高古遊絲描와 같은 一筆畵를 선호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墨法에 있어서는 아직 뚜렷한 畵法은 나타나 있지 않았다. 이 시기의 회화는 實用畵였기에 예술성에 대한 관심은 없었으나 이미 동양회화예술의 전통으로써 筆法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이 전통을 초석으로 하여 後代 魏晉南北朝 이후로 筆法 中心의 藝術形態가 계속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 傳統은 唐代의 水墨畵를 통해 墨法에 대한 관심이 고양되어 筆墨法은 더욱 풍요로와 질 수 있었다. 그리고 元代 이후로 文人畵가 융성하면서 表現的 筆墨法이 구사되었는데 모두 春秋戰國・漢代의 筆墨法 傳統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춘추전국・한대의 筆墨法은 東洋繪畵藝術의 근원이며 전통으로 작용됨이 고찰되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筆·墨畵法의 發生과 語源
  1. ‘筆’字의 發生과 語源的 意味
  2. ‘墨’字의 發生과 語源的 意味
 Ⅲ. 春秋戰國時代 繪畵의 筆墨法
  1. 戰國時代 初・中期 繪畵의 筆墨法
  2. 戰國時代 中・後期 繪畵의 筆墨法
 Ⅳ. 漢代 繪畵의 筆墨法
  1. 西漢代 繪畵의 筆墨法
  2. 東漢代 繪畵의 筆墨法
 Ⅴ.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선옥 Kim, Sun Ok.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