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심사논문

“活句”:大慧宗杲看話禪的特質

원문정보

“Huoju”: Characteristics of Master ZongGao’s Kanhua Zen

“활구”:대혜종고간화선적특질

李海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anhua Zen, flourished due to the advocacy of Master ZongGao, became the main direction of Zen after Song Dynasty. Different from former Songgu(頌古) or Pingchang(評唱), which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words, Kanhua Zen concentrates on certain “Huatou”(話頭) from a Buddhist case. Upon ZongGao’s requirements, “Huatou” shall be mentioned timely during daily life in an effort to review one’s own performance and make “Yiqing”(疑情, self-perception). “Yi”(疑, query) means one should query everything and see through everything to attain Enlightenment. In theory, the Kanhua Zen of ZongGao paid attention to “firm belief”(決定信) and “timely belief”(信得及), thus querying(including multiple queries) based on belief until reaching the state of having noting to be queried, which means people are enlightened. All of these processes are realized through “Huatou”. The “Huoju”(活句, words that can make people attain Enlightenment) which is taken as “Huatou” either answers question positively or negatively or makes people think or explain the “Huatou” in the Buddhist case. “Huatou” can’t be understood through rational thinking or conscious idea, namely it can’t be explained or understood through rational way or have any actual meaning. Therefore, in the process of “kanhua”(看話), people can’t understand or think in conventional way, but shall query everything and pass into the condition of having no time to discussing or thinking; during then, people would enter the status of “vapidity”(無滋味) and would attain Enlightenment.

한국어

간화선은 대혜종고로 인해서 흥성하게 되었으며, 송대 이후 선학 발전에 중요한 방 향이 되었다. 이는 이전의 선풍이 송고(頌古)·평창(評唱) 등과 같이 문자로 이해하는 것 과는 달리, 공안(公案)을 통해 하나의 화두(話頭)에 집중하는 것이다. 이론상에서 볼 때 대혜의 간화선은 먼저 결정신(決定信)과 신득급(信得及)을 강조한다. 믿음을 의지해서 큰 의심을 일으키는 데서부터, 의심으로부터 공부를 지어 의심하되 의심할 곳이 없는 데 이르러서, 크게 한번 죽으면 곧 돈오(頓悟)해서 성품을 보아 증과(證果)하게 된다. 이 런 과정은 화두를 통해서 완성된다. 그래서 대혜 간화선의 핵심은 화두이지만, 화두 의 특성은 곧 활구성(活句性)에 있으니, 이는 문자·언어로 해석되어질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다. 활구가 되는 화두는 공안 중에서 이미 정면 혹은 반면으로부터의 대답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므로, 묻는 것이 아닌 것에 답한 것이라고 표현된다. 또한 화두에 대 해서는 사유와 해석을 진행할 수 없으므로 이론의 길이 없어지고 사량 분별의 길이 끊어졌다고 한다. 이론의 길이 없어졌다는 것은 이성적 사고를 통해서 도리를 설명하 거나 인식할 수 없음을 강조하고, 사량 분별의 길이 끊어졌다는 것은 어떠한 실제적 인 뜻도 없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화두를 간(看)할 때는 일반적인 이해와 인 식으로는 행할 수 없고, 오직 대의정(大疑情)을 발해야 하니, 논의와 사려가 미치지 못 하는 무자미(無滋味)의 상태가 되었을 때 비로소 견성성불(見性成佛) 할 수 있다.

중국어

看話禪因大慧宗杲的宣導而盛, 成爲宋代以後禪學發展的主要方向. 看話禪不同於以往 的頌古, 評唱等注重文字意解理會, 而從“公案”集中到一個“話頭”. 宗杲要求在行住坐臥 中時時提起“話頭”進行參究, 念念不忘, 進而通過“話頭”來返觀自己, 對自身進行“疑 情”. “疑”要做到山窮水盡疑無路, 噴地一發, 疑團一破, 大悟現前, 得見諸佛. 從理論上 看, 宗杲的看話禪首先强調的是“決定信”, “信得及”, 從而依信而起一大疑(包含千疑萬疑), 疑上做功夫, 疑無可疑, 大死一番, 就會驀然頓悟, 見性證果. 此中之過程, 皆通過“話 頭”而完成. 所以, 宗杲的看話禪理論核心是“話頭”, 而話頭的特質就在於“活句性”, 卽 不可解釋性. 作爲活句的“話頭”在公案中旣不是從正面或反面回答問題, 表現爲答非所 問, 又無法對“話頭”(答語)進行思維, 解釋, 表現爲無理路無意路. 無理路强調無法通過理 性用道理去說明和認識, 無意路强調沒有任何實際意義. 所以, 看“話頭”時不能進行正 常性的理解和認識, 而是要大發疑情, 進入到一種口議心思不及, “無滋味”的狀態, 方能 見性成佛.

목차

摘要
 一. 序言
 二. 大慧宗杲與看話禪的興起
 三. 大慧宗杲的看話禪理論
 四. 宗杲看話禪的“活句”特質
 五. 結語
 參考文獻
 Abstract

저자정보

  • 李海濤 이해도. 山東大學 宗敎學系 副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