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이보형의 삼현육각 현장조사와 그 성과

원문정보

Lee Bohyung’s Fieldwork on Samhyeon Yukgak and its Outcomes

최선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rocess and outcomes of Lee Bohyung’s fieldwork on Samhyeon yukgak(三絃六角) based on the Minsokak(Korean folk music) research data collected by him. Lee Bohyung’s fieldwork on Samhyeon yukgak was first conducted during his folk dance research(1966, 1976). From 1979 to 1982,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before he published the report of his fieldwork on Samhyeon yukgak(1984). The preliminary study included factual survey on gukak in Southern & Northern Jeollado(1979), Gyoenggi Sinawi(1980), Gyeonggi Saenamgut(1981), Hwanghaedo Baebaengigut(1982), Tongyeong Sooryook Saenamgut(1982), etc.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se preliminary investigations, the fieldwork on Samhyeon yukgak was conducted through which responses from musicians of Samhyeon yukgak and practitioners of folk music were collected(1983) and eventually the results were put together in the report of Samhyeon yukgak. After 1984, Lee Bohyung continued researches on Samhyeon yukgak as he traveled around the country. While he conducted studies on Sinawi, Sanjo(散調), Pungnyu(風流), Pansori, Gut, dance, and plays, he ceaselessly interviewed musicians to learn what kind of Samhyeon yukgak music was played in varied genres, why they started to play it, who was the master of it, etc. Consequently, Lee Bohyung’s fieldwork on Samhyeon yukgak after 1984 made a great step forward in musicology as 1) the research area was expanded to Seoul, Southern Chungcheongdo, Pusan, Ulsan, Daegu, Northern Gyeongsangdo when it had been remaining only in the area around Gyeonggi, Honam, Haeseo, Tongyeong before he conducted that research, 2) he discovered new performers who tried to inherit the tradition of Samhyeon yukgak from the area of his preceding research, 3) he first studied Samhyeon yukgak used in tightrope walking, 4) it was the first research on Samhyeon geollip(三絃乞粒) as well.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이보형 소장 민속악 자료를 중심으로 이보형의 삼현육각 현장조사 과정과 그 성과를 밝히는데 있다. 이보형의 삼현육각 조사는 맨 처음 민간 무용 조사(1966년, 1976년)에서 확인된다. 그리고 1979년부터 1982년까지『삼현육각』(1984) 조사보고서 작성을 위한 현장조사에 앞서 사전 조사가 있었다. 사전 조사로는 전남․전북 지역의 국악실태 조사(1979), 경기 시나위 조사(1980), 경기 새남굿 조사(1981), 황해도 배뱅이굿 조사(1982), 통영 수륙 새남굿 조사(1982) 등이 있었다. 이러한 삼현육각 사전 조사에서 발굴한 삼현육각 악사 및 민속악 전승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한 본격적인 삼현육각 현장조사(1983)가 진행되었고, 조사내용은 정리되어 『삼현육각』 조사보고서로 작성되었다. 1984년 이후에도 이보형은 계속해서 여러 지역을 방문하여 삼현육각을 조사하였고, 동시에 시나위․산조․풍류․판소리․굿․무용․연희 등을 조사하면서 사용된 삼현육각 음악과 연주 계기 및 명인에 대한 질문을 끊임없이 해왔다. 그 결과 1984년 이후에 이보형의 삼현육각 현장조사의 진일보한 성과는 ①민간 삼현육각 조사 지역이 경기, 호남, 해서, 통영에서 서울, 충남, 부산․울산, 대구․경북으로의 확장, ②기존 조사 지역에서 새로운 삼현육각 전승자 발굴, 처음으로 ③줄타기에서의 삼현육각과 ④삼현걸립에 대한 조사 등에서 찾을 수 있겠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1984년 이전 삼현육각 현장조사
 3. 1984년 이후 삼현육각 현장조사의 성과
 4.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선아 Choi, Sun-A.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