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시용향악보』간행 배경 재고(再考)

원문정보

A Study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Publishing Siyonghyangakbo in the Performing Artistic History

윤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st musics on the music book Singyonghyangakbo are the original version or the first editions. Some of them are interpreted as Hyeonsu’s folk banquet or shaman musics, who had played in the royal court yard at the year ending banquet, Gwanna, one of Narye. Yeonbangwon which was a 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royal music during the year of king Yeonsangun’s reign, had collected the songs for the banquet on the 17th March, 1506, which was Sandaehui, the biggest royal banquet at the Gyeonghoeru with mountain-shaped stage and three thousand musicians including Hyeonsu by the order of king Yeonsangun. Also, king Yeonsangun had banned female musicians to repeat one song ever, therefore Yeonbangwon would have made every effort to make and collect new songs for the banquet. In addition to that, king Yeonsangun ordered the officials of Yeonbangwon to record the songs with exact pitch marks, and to train female musician to sing songs to the accurate pitch in 17th november 1506. As all these king Yeonsangun’s commands, Yeonbangwon would have recorded those song on the music book, and named as Singyonghyangakbo which means current folk musics. Under the circumstances, the songs on the music book Singyonghyangakbo would have come to be ranged from high to low classes. And the conjectured period of record would be between the late 11th and the early 12th year of the king Yeonsangun’s reign.

한국어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새로운 민요 중 일부는 이미 고려시대부터 유행했던 속요로서 민간의 연향뿐 아니라 궁중에서도 불렸던 음악인데, 이는 당시 민간 기악인 현수(絃首, 絃手)의 활동 무대와 일치한다. 또한 나례가(儺禮歌)를 비롯해 무가계열로 알려진 곡들은 기존에는 궁중 기은(祈恩)때 명산대천에서 무녀로 하여금 부르게 한 음악으로 추정되었으나, 다른 곡들과 함께 이 역시 현수가 궁정나례(宮庭儺禮) 중 관나(觀儺) 때 불렀던 것을 기록한 것으로 보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기타 한문가사의 생가요량과 쌍화곡 같은 고취악 계열의 음악은 주로 어가 환궁시에 불렸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 역시 현수가 포함된 여기(女妓)들에 의해 불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산군은 12년 3월 17일 대규모 산대희 공연을 준비하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연산군은 여기들이 정확한 음높이로 노래하기를 원했으므로 한문과 언문 가사에 음고를 표기해서 연습하도록 했으며, 한번 부른 곡은 다시 부르지 못하도록 지시했다. 이 때문에 연방원은 현수가 민간에서 부르던 곡들을 포함한 모든 향악을 모아야 했고, 대규모 공연을 위해 여기들이 부를 수 있도록 악보로 만들어야만 했을 것이다. 특히 연산군 때 궐내에 상주하고 있던 현수의 민간음악은 운평여기들에게 전수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악보화 작업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다양한 계층과 시대를 아우르는 음악은 연산군 때 궁중과 민간을 오가며 현가 위주의 음악활동을 했던 현수의 음악들이 포함된 악보다. 무가나 나례 관련 음악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수의 음악일 수밖에 없는 배타적 특수성이 증명된다고 하겠다. 따라서『시용향악보』는 관찬악보로서 당시 연방원의 총율(總律)이 기록했을 가능성이 높고, 간행 시기는 연산군 11년 11월 18일부터 12년 3월 17일까지의 대략 4개월 사이일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시용향악보』 수록곡의 용도
 3. 『시용향악보』 간행 배경 및 시기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아영 Yoon, Ah-Young. 백석예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