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안확의 조선무용사 서술내용 및 인식태도

원문정보

A Study on Description Method and Recognition Attitude of Ahn Hwak's ‘Joseon Dance History’

김은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narrative style and attitude of recognition concerning Korean dance history focusing on ‘Dance of Joseon Music(4)’ written by Ahn Hwak in the magazine of “Joseon Dynasty” in 1930. Ahn Hwak introduced the dance of each period by dividing periods such as the Three Hans period, Three Kingdoms period, the Goryeo period, the Yi dynasty, and the Modern period as in “Joseon Musical History”. It was found that his narrative method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records of Joseon dynasty,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of Korean dance history similar to the narrative method of current Korean dance history. Ahn Hwak’ attitude of recognition on Joseon Dance focused on the four aspects such as the use of dance terminology, the narrative on the basis of historical records, the view point of dance, and the criticism of ‘Yi-wang Jik’ traditional musical band. First, Ahn Hwak used the term ‘dance’ as a western concept that emphasized the separation from the category of Joseon music. From this point of view, it showed the changed recognition of that era based on the traditional concept of ‘music 樂’.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Ahn Hawk’ recognition of dance history was completed thoroughly by the narrative centered on historical records. Third, Ahn Hwak considered the beauty of dance itself was more important than ideological symbolism. So it showed the changing point that gradually became the consideration of art itself, away from the practical view of the service of political affairs. Fourth, due to the negative viewpoint of ‘Yi-wang Jik’ traditional musical band, Ahn Hwak could not describe the music and dance of that era from an objective standpoint. The description of Ahn Hwak’ Joseon dance history was meaningful in the aspects of starting point of description on Korean dance history reviewing the composition of narrative order and contents. On the other hand, however, his narrative on the basis of historical records and his attitude on dance of that era showed clear limits.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안확이 1930년에 잡지 󰡔조선󰡕에 기고한 「조선음악의 연구(4)」 무용편을 중심으로 조선무용사에 대한 그의 서술방식과 인식태도를 살펴보았다. 안확은 「조선음악사」와 마찬가지로 조선무용사를 왕조별로 삼한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이조시대, 근경의 다섯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의 춤을 소개하였다. 왕조사관에 입각하여 사료 중심적으로 내용을 기록한 안확의 서술방식은 현행 한국무용사에서도 주요하게 쓰이는 서술방식이라는 점에서 그의 글이 무용사 연구의 시작점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무용에 대한 안확의 인식태도는 무용 용어 사용, 사료 중심적 서술, 춤에 대한 시각, 이왕직아악부 비판의 네 가지 측면에 주목하였다. 첫째, 안확은 조선음악의 범주에서 음악과는 별개의 갈래임을 강조하는 서구적 개념의 ‘무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어서, ‘악’에 대한 전통적 개념을 바탕으로 당대의 변화된 인식을 수용한 측면을 보여주었다. 둘째, 안확의 무용사 인식은 철저하게 사료 중심적 서술에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안확은 관념적 상징성보다 춤 자체의 아름다움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서 악무가 정치를 위해 복무한다는 효용적 시각에서 벗어나 점차 예술 그 자체로 인식하게 되는 변화의 한 지점을 보여주었다. 넷째, 이왕직아악부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안확이 어느 시기보다 당대의 무용을 엉성하게 기술하게 된 방해물로 작용하였다. 안확의 조선무용사 기술은 사료나 목차 구성, 서술 내용 등에 있어 이후 전개된 한국무용사의 시발점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왕조사관의 사료중심적 서술이 갖는 학문적 한계와 당대의 무용에 대한 소략한 기술은 아쉬움을 남겼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안확의 조선무용사 서술내용 검토
 3. 안확의 조선무용에 대한 인식태도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자 Kim, Eun-Ja. 한국예술종합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