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유학 대학생들의 학문적 요약문 글쓰기 - 한국인 대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실태 분석 -

원문정보

A study on Summary Writing in Academic Korean Language for Foreign Students - Compared with Korean students -

홍승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foreign university students had in writing summaries in Korean. To accomplish this, 25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20 Foreign students participated in a writing survey consisting of two summary writing tasks and one note-taking task during a on a short culture clas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oreign students were unable to identify the essential words for a summary, so their summaries tended to be 1.5 times longer than those of Korean students. The foreign students also had difficulty writing concise sentences and were not proficient in finding replacements for simple words or in rewriting skills. In the note-taking task, many of the foreign students tried to write whole sentences rather than a summary with keywords. (Kookmin University)

한국어

이 연구는 한국 대학교에서 한국어로 수업을 듣는 한국 유학 대학생들이 요약문 쓰기 능력이 부족하여 학업 성취에서 겪는 어려움에 유의한 기초적 고찰이다. 대학 수업에서 필요한 요약문 글쓰기 능력을 보기 위하여 한국인 대학생 25명과 한국 유학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요약 글을 쓰는 서면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결과는 체계구성적 측면, 내용적 측면, 표현기술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한국 유학 대학생들의 요약문 글쓰기 능력을 한국인 학생과 비교한 결과 체계구성적 측면에서 약 1.5배 길게 쓴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글의 구성 능력은 글의 구조 측면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국 유학 대학생들은 앞부분을 뒷부분보다 더 자세하게 작성하여 앞부분에서 는 줄이지 못한 내용을 뒷부분에서 급하게 줄이고자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내용적 측면에서 한국인 학생들보다 한국 유학 대학생들이 원문에서 더 많은 어휘를 선택해 요약글을 구성하여 길이가 길어지고 내용이 정돈되지 못하였으며, 길이를 줄이려다가 중요한 내용이 누락되는 경우도 발생하여 요약글을 쓸 때 주변적 어휘를 제대로 파악하여 삭제하지 못하는 모습이 드러났다. 표현기술적 측면에서 더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어휘로 바꾸는 ‘언어 대치 능력’이 한국인 학생보다 매우 부족하여 거의 사용하지 못하였으며, 요약 문장은 원문에서 일부 단어를 삭제하거나 뒷부분에 다른 문장을 덧붙이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문장의 길이와 주술호응, 내용의 초점 변화 등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필기에서는 한 눈에 내용이 들어오게 쓴 한국인 학생들과 달리 완성된 문장을 고집하여, 분량적 측면과 시간 소비가 비효율적이고 내용을 빠르게 알아볼 수 없는 것은 물론 일부 내용이 누락되거나 문장이 이상한 형태가 되는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기존 한국어교육에서 해왔던 문장 요약 연습 방법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어 다양한 방식의 연습과 활동이 필요한 점이 드러났다.

목차

Abstract
 1. 머리말
 2. 대학에서의 요약문 글쓰기
 3. 연구 실험
  3.1. 실험 구성
  3.2. 실험 진행
 4. 실험 결과 분석
  4.1. 체계구성적 측면에서의 요약 글쓰기 능력
  4.2. 내용적 측면에서의 요약 글쓰기 능력
  4.3. 표현기술적 측면에서의 요약 글쓰기 능력
 5. 마무리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홍승아 Hong Seungah. 국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