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일 교류사 활용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sage of Korea-Japan Exchan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조현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5-1.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have studied in Korea often have trouble advancing their language studies when returning to their native countries. Currently, many Chinese and Japanese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have experience studying in Korea as exchange students, and the numbers are continuing to increase. Consequently, a language curriculum is needed to accommodate students who have studied Korean in Korea for at least six months or over a year.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olution for an educational model through the exchange history of two countri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specialized curriculum in needed for students who have studied in Korea for a long peri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Japanese advanced level learners of Korean. Korea and Japan share a long ancient history and the trail of many exchanges still remains. Therefore, if students were to exchange not only language but also cultural aspects, they will be given the opportunity to consider futur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Moreover, Japanese students will be able to experience classes on issues related to Korea-Japan relations, which will enhance effective language and cultural exchanges. Teaching methods will enable integrated multi-skill classes along with project-based learning which, in turn, will increase learners’ participation. This educational model is important as it aim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rough the exchange history between two countries. (Kyung Hee University)

한국어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에서 유학을 하고 돌아간 경우 본국에서 고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많다. 현재 중국이나 일본의 한국어 전공 학부생들은 많은 경우에 한국에서 교환 유학생이나 자비 유학생으로 공부한 경험이 있으며 그 숫자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 6개월 또는 1년 이상 공부한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 한국에서 유학하고 돌아간 학생들을 위한 더 욱 특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교류사’를 통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학습자는 고급 단계 이상의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이다. 한국과 일본은 고대사부터 많은 교류가 있어 왔으며 그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다. 따라서 언어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교류에 대해서 공부한다면 한국과 일본의 미래지향적 관계설정에 대해서도 학습자들이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본인 학습자의 경우 일본에 산재해 있는 한일 교류 관련 지역을 직접 답사해 보는 방식의 수업이 가능하므로 보다 효과적인 언어 및 문화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업의 방식으로는 프로젝트 수업을 비롯하여 다양한 기능의 통합 수업이 가능할 것이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참여를 높일 수 있다. 특히 한일 교류사를 통해 양국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할 기회를 갖는 국제이해교육의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는 교육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 연구
  2.1. 문화교육의 내용
  2.2. 문화교육의 방안
  2.3. 문화 대응 교수 관련 연구
 3. 연구 방법
 4. 기초 설문 조사 결과
  4.1. 한국어 교·강사 설문 결과 및 시사점
  4.2. 일본인 학습자 대상 설문 결과 및 시사점
  4.3. 한일 교류사의 교육 내용 활용 방안
 5.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조현용 Cho Hyunyong. 경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