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ntemporary Problem-Solving Therapy :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pplications
초록
영어
Problem-Solving Therapy is a psychosocial intervention that focuses on the client’s ability to deal with a problem and is geared to foster a positive orientation to problem solving and enhance problem solving skills. Since Thomas D’Zurilla and Marvin Goldfried suggested a model of problem-solving training, PST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based on the extant treatment-outcome literature, and advances in psychology and neuroscience. The latest version of PST is termed the Contemporary Problem–Solving Therapy. This article describes the basic theory of PST and changes and introduces the refined theory and therapeutic strategies of Contemporary PST. For more than 40 years, PST has been applied in a wide variety of populations and clinica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PST outcome research and the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outcomes. PST has been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in decreasing distres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of individuals who are suffering from a variety of emotional distress, including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and health problems, including cancer, heart disease, and diabetes. Lastly, the feasibility of PST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한국어
문제해결치료(Problem-Solving Therapy)는 문제에 대한 대처능력에 초점을 두고 문제해결에 대 한 적응적 관점과 문제해결기술을 강조하는 심리사회적 개입이다. 문제해결치료는 D’Zurilla 와 Goldfried가 문제해결훈련모델을 제시한 이래로 여러 차례 수정을 거치며 발전해 왔다. 최 근에 연구자들은 그동안 진행된 연구결과와 심리학의 새로운 흐름 및 신경과학의 발전을 반 영하여 문제해결치료의 주요개념과 이론을 개정하였으며, 최신 문제해결치료(Contemporary Problem-Solving Therapy)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본고에서는 문제해결치료의 발전과정 과 주요개념을 살펴보고 최신 문제해결치료의 개정된 이론과 치료기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문제해결치료는 40년 이상 다양한 임상 및 비임상 집단에 적용되어 왔고 국내에서도 교육, 상담 및 정신건강 영역에서 다방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문제해결치료와 관 련된 국내외의 성과연구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문제해결치료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문제해결치료는 우울, 불안, 자살생각 등의 정신적 고통이나 암, 심장질환, 당뇨병 등 의 질병 또는 신체적 고통을 경험하는 다양한 집단에서 증상의 감소와 삶의 질 개선에 효과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는 문제해결치료의 활용가능성과 앞으로의 연구주제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목차
문제해결치료의 발전
최신 문제해결치료의 주요개념
치료과정과 기법
문제해결치료의 활용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강경심 (1998). 간질환자의 문제해결능력과 문제해결태도 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권혜림 (2006). 복지간병인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3김금열 (2002). 자활근로대상자를 위한 심리사회적 문제해결능력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가톨릭대학교석사학위논문.
- 4憂鬱症 患者들의 社會的 問題解決 能力네이버 원문 이동
- 5김유림, 강지현 (2014).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통제의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12(4), 1-24.
- 6The Effe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on Crea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네이버 원문 이동
- 7김혜원 (2015). 남자 청소년을 위한 학교 기반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8The Moderating Effects of Problem-Solv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네이버 원문 이동
- 9박성주 (2008). 이혼위기 부부를 위한 문제해결단기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0Interpersonal problem saving skills training for preschool children네이버 원문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