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인문학]

한자 접사와 고유어 접사의 대응 양상에 대하여

원문정보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Sino-Korean affixes and Korean affixes

최형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Sino-Korean affixes and Korean affixes There are not a few correspondence between Sino-Korean and Korean in modern Korean. But this correspondence is also found in the units smaller than words such as affixes and roots. Therefore we can divide this into the correspondence between affixes and roots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affixes and affixes. The former means semantic correspondence not syntactic correspondence. The latter can be subdivided into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ffixes and Sino-Korean roots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Sino-Korean affixes and Korean roots, which is more often. Meanwhile the correspondence between affixes and affixes can be subdivided into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ffixes and Korean affixes, between Korean affixes and Sino-Korean affixes and between Sino-Korean affixes and Sino-Korean affixes. The degree of synonymy is higher in the correspondence between affixes and roots and between Sino-Korean affixes and Korean affixes. Korean affixes originated from Sino-Korean such as ‘꾼’, ‘장이’, ‘지기’, ‘둥이’ correspond with Sino-Korean affixes ‘軍’, ‘匠’, ‘直’, ‘童’ in the case that those Korean affixes have the same meaning with original Sino-Korean affixes. These synonymous derivatives show that Sino-Korean and Korean can be treated together under the identically structured system.

한국어

한국어에서는 한자어와 고유어가 대응을 보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대응은 어휘적인 차원에서뿐만이 아니라 어휘의 내부 구조에서도 일어나는 일이다. 어휘의 내부 구조에서 일어나는 대응은 크게 ‘접사와 어근의 대응’과 ‘접사와 접사의 대응’으로 나눌 수 있다. 접사가 어근과 대응하는 일이 적지 않다는 것은 이러한 대응이 일차적으로 문법적 차원이 아니라 의미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접사와 어근의 대응’은 다시 ‘고유어 접사와 한자 어근의 대응’과 ‘한자 접사와 고유어 어근의 대응’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두 가지 경우 가운데는 접사가 한자일 때 보다 폭넓은 대응이 발견된다. 한편 접사와 접사가 대응하는 경우도 다시 ‘고유어 접사와 고유어 접사의 대응’, ‘고유어 접사와 한자 접사의 대응’, ‘한자 접사와 한자 접사의 대응’으로 나눌 수 있다. 동의성의 정도는 ‘접사와 어근이 대응하는 경우’ 그리고 ‘한자 접사와 고유어 접사가 대응하는 경우’가 가장 높다. 또 고유어 접사 가운데 한자가 기원인 ‘꾼’, ‘장이’, ‘지기’, ‘둥이’는 그 영역을 확대하기 이전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에 한해 대응하는 한자 단위 ‘軍’, ‘匠’, ‘直’, ‘童’과 대응하는 모습을 보인다. 접사의 대응으로 동의어가 되는 동의파생어의 존재는 한자어와 고유어가 같은 체계 아래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개요
 1. 머리말
 2. 한자 '접사'와 고유어 '접사'
  2.1 접사와 어근
  2.2 접사의 범위
 3. 한자 접사와 고유어 접사의 대응 양상
  3.1 한자 접두사와 고유어 접두사의 대응 양상
  3.2 한자 접미사와 고유어 접미사의 대응 양상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형용 Choi, Hyung-yong. 아주대 인문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