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박옥남 소설에 나타난 조선족 정체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dentity of Joseonjok(조선족) Appearing in Park Ok-nam’s Novel

최병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ark Ok-nam is a Joseonjok writer who wrote little and published a novel collestion, Jangson(2011) during a 30‐year author life. He showed a keen interest in how Joseonjok society, which maintained its identity as a minority in China, was transformed and broken down through works that are not so many. This study examined his novel collestion and the six novels published later, and looked at how the subject of his novels is expanding and shaping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Park Ok-nam depicted the anecdotes of Joseonjok, who mainly engaged in organizing and living an unfortunate life at the beginning of his life. Since then, the writer showed the society of Joseonjok who had lived in rural areas through the reform and opening, and Korea and China exchanges showed themselves to be disintegrating as they moved to the cities or to south Korea, and expanding interest in the reality of Joseonjok reveals interest in Joseonjok's identity as a minority in China society through marriage and funeral. After going to Korea for the first time in 2007, he began to fiction about the life of Joseonjok living a new hard and painful life in the periphery of Korean society. Park Ok‐nam, after the publication of Jangson, also shaped the lives of North Korean women sold in rural areas along with diverse scenes of the devastated Joseonjok society by widening the area of interest. Park Ok‐nam, who has come to Korea after his retirement from his teaching profession, is expected to pioneer and novelize a new area of Joseonjok identity through his new experience.

한국어

박옥남은 30년 작가 생활을 하는 중에 소설집 『장손』(2011) 한 권을 간행한 과작의 조선족 작가이다. 그는 많지 않은 작품을 통해 소수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해 오던 조선족 사회 가 시대 변화로 어떻게 변모하고 또 와해되어 가는가에 깊은 관심을 보여 왔다. 본고는 그의 소설집과 이후 발표된 여섯 편의 소설을 검토하여,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의 소설의 주제가 어떻게 확장되고 또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살폈다. 박옥남은 작가 생활 초기에 주로 기구하고 불우한 삶을 산 조선족의 일화를 다루었다. 이 후 작가는 개혁개방과 한중교류로 농촌에 살던 조선족들이 도시로 또 한국으로 이주하면서 와해되어 가는 조선족 사회를 보여주고, 조선족 현실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어 혼인과 장례등을 통해 중국 사회의 소수자로서 조선족의 정체성에 대한 관심을 드러낸다. 2007년 생애 처음 으로 한국을 다녀간 뒤 한국사회의 주변부에서 신산한 삶을 살아가는 조선족의 삶을 소설화 하기 시작하였다. 박옥남은 『장손』 상재 이후 관심 영역을 넓혀 와해되어 가는 조선족 사회의 다양한 풍경과 함께 중국 농촌에 팔려온 탈북여성의 삶을 형상화하기도 하였다. 교직에서 정년한 후 한국에 입국해 있는 박옥남이 새로운 경험을 통해 조선족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여 소설화할 것을 기대한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기구하고 불우한 인물의 일화
 3. 한국과의 교류로 와해되는 조선족 사회
 4. 중국사회의 소수자로서 조선족의 정체성
 5. 한국사회의 주변부를 떠도는 조선족의 삶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병우 Choi, Byeong-Woo. 강릉원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