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와 중국어 장사 방언(長沙方言)의 음운 체계 대조 연구

원문정보

A Contrastive Study of Phonograhic System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hangsha Dialects

여홍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aper targets the Phonological System of Korean and Chinese Changsha dialect to analyse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also to get useful inspiration for the Korean Education among Changsha dialect district. First, the equivalent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phonetic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irst study. That is, the First Consonant in Korean is equal to Initials, the Second Consonant is equal to Abdominal Finals and the Final Consonant is Tail vowel. Then the paper will sort out a Phonological Theory of Constraints and figure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what should be focused on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 First Consonant System says the Soft Palate Nasal /ŋ/ can’t appear in the First Consonant, but /ŋ/ could appear in Initials in Changsha dialect. /n/ Could be a Consonant in Korean but Changsha dialect only has Liquid Consonant /l/ and Velar Nasal /n/ except Nasal /ȵ/. There are 7 final Consonants in Korean, however, Changsha dialect only has /n/ and /ŋ/. And The number of syllables composed by syllable Rime and Tail Vowel/n/,/ŋ/ is limited. The Nasal Tail Vowel /ŋ/ in Chinese standard language usually pronounces as a Tail Vowel /n/. Therefore, the paper confirms that except the compatible syllables ‘옹’ and ‘용’. the Final Consonant /ㅇ/ in other syllables often pronounces /n/. In vowel system, there are 10 units in Korean and 6 in Changsha dialect. There are two types of double vowels in Korean: J and W, while Changsha dialect includes three kinds. Therefore, Changsha dialect exists the Triphthong, which are not characteristic of Korean vowel system.

한국어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 장사 방언의 음운 체계를 대조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리고 대조 분석을 통하여 장사 방언권의 한국어 발음 교육과 학습에 유용한 시사점을 보여줄 수 있기 바란다. 먼저 선행연구에 따라 한국어와 중국어 음절구조에서 서로 등가 요소인 한국 어의 초성과 장사 방언의 성모(声母), 중성과 복운모(複韻母), 종성과 운미(韻尾) 세 가지 대 응 관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와 장사 방언의 음운 체계를 제시하고 등가 요소를 음 운론적으로 대조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유의할 특징을 살펴보았다. 자음 체계는 초성의 경우에 한국어 연구개비음 ‘ㅇ/ŋ/’ 는 초성 자리에서 나타날 수 없는 반면 장사 방언에는 성모를 담당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한국어에 ‘ㄴ/n/’은 초성에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 반면 장사 방언에는 성모 위치에 비음 ‘/n/’ 대신에 유음 [l]이나 설면 비음 [ȵ]으로 발음되는 것이 보통이다. 종성 자음의 경우 한국어 종성과 장사 방언의 운미는 모두 음절의 마지막 부분에서 나타나지만 한국어의 종성은 7개가 있고 장사 방언은 비음 운미 ‘/n/’과 ‘/ŋ/’ 2개밖에 없다. 그리고 장사 방언 운미 ‘/n/’과 ‘/ŋ/’은 결합된 음절수가 상당히 제 한적이고 원래 중국어 표준어에 비음 운미 /ŋ/과 결합된 음절은 장사 방언에서 늘 운미 /n/으 로 발음되므로 한국어의 ‘옹’과 ‘용’을 가진 음절을 제외한 다른 종성/ㅇ/을 가진 음절도 /ㄴ/ 으로 쉽게 발음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모음체계는 한국어 단모음은 10개가 있고 장사 방언에 는 6개밖에 없다. 이중 모음에서 반모음의 종류를 보면 한국어의 이중모음은 j계와 w계 이중 모음 두 가지가 있고 장사 방언에는 ɥ계까지 포함하여 3가지가 있다. 그리고 장사 방언에는 삼중모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 한국어에 없는 특징이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한국어의 음운 체계
 3. 중국어 장사 방언(長沙方言)의 음운 체계
 4. 한국어와 장사 방언(長沙方言)의 음운 체계 대조 분석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여홍령 Yeo, Hong-lyeong. 인하대학교 한국학과 박사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