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어머니>를 통해 본 낭만적 아이러니

원문정보

The Romantic Irony in <The Mother>

葉蕾蕾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Na Do-Hyang‘s novel, the patriarchal order of clan and the unreasonable social status of modern colonial Korean society are both manifested in an oppressive space. The protagonist in this novel even showed an impulse of roving world and hoped to find salvation from love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oppressive reality. In the novel , Choon Woo attributed all the cause of family misfortune to mother’s death and endowed maternal love with supreme significance in this process. As other's concubine, Yong Sook had already been a mother. She couldn't stop falling into a taboo love. Before and after 1920, the new concept of “free love” increasingly won public support. Meanwhile, there was unprecedented criticism against “wife and concubinage system”. The shame and resentment towards her identity - non-first-rank wife directly led to Yong Sook's fornication love. However, as the writer has always insisted on that the physical love is a depraved and spiritual cleanliness that is different from pure spiritual love; at the beginning of the novel, Choon Woo adopted an extremely repressive attitude towards the carnal desire that he felt. Meanwhile, Choon Woo also began to doubt Yong Sook's unsteady attitude; he gradually lost trust for her. In addition, Yong Sook gave up her mother's identity for her eager love, which also incomparably disappointed Choon Woo. Choon Woo gradually realized the impossibility of romantic love with Yong Sook and decided to let Yong Sook back to her mother's position at the same time. Whether Choon Woo or Yong Sook, both the “absolute love” and “complete love” that they sought might pursue a breakthrough in the oppressive reality. However, they could only get farther and farther from their expectations in process of pursuing this dream, forming romantic irony.

한국어

나도향의 소설에서 집안의 가부장적 질서와 근대 식민지 조선의 부조리한 사회구조는 모 두 억압적인 공간으로 나타난다. 그의 소설에서 작중인물은 이를 도피하기 위해 일종의 ‘방랑 벽(放浪癖)’을 보이기도 하고 부정적 현실의 대항기제로서의 사랑을 추구하기도 한다. 이는 나도향의 장편소설 <어머니>에서도 드러난다. <어머니>의 작중인물인 춘우는 가정의 모든 불행의 근원을 어머니의 부재로 돌리는 동시에 모성적 사랑을 절대화하는 인물로 부각된다. 그리고 1920년대는 새로운 근대적 양식의 하나로 ‘연애’가 유행하면서 첩을 두는 풍습에 대한 비판이 나타난다. 자유롭고 ‘완전한 사랑’에 대한 동경과 첩이라는 자신의 신분에 대한 원망과 치욕스러움은 영숙이 불륜을 감행하는 내적 동기가 된다. 한편 육체적 사랑을 타락한 것으로 간주하고 그것을 순수한 정신적 사랑과 은연중에 구분하는 나도향의 경향은 <어머니>에서도 나타난다. 춘우는 신체적 욕망을 매우 조심스럽게 억제할 뿐만 아니라, 영숙의 변덕스러움을 이유로 그녀의 사랑의 진의를 계속해서 의심한다. 결국 춘우는 영숙과의 낭만적 사랑의 불가 능성을 깨닫게 되고 영숙을 어머니의 자리로 돌려보낸다. 춘우와 영숙은 부정적인 현실에 대 한 구원으로서의 ‘절대적 사랑’과 ‘완전한 사랑’을 추구하는 인물로 이 과정에서 끊임없이 이 율배반적인 모습을 보인다. 결국 이들의 사랑은 예정된 실패로 향할 수밖에 없다. 이때 나도향 은 작중인물의 과잉된 감정의 노출을 통해 낭만적 환상을 창조하는 한편 성찰하는 자세로 작 품 속에서 이에 대한 불가능성 역시 견지하는 모습을 통해 낭만적 아이러니를 드러낸다.

목차

국문요약
 1. 들어가며
 2. 현실의 억압과 ‘절대적 사랑’
 3. 금기의 위반과 ‘완전한 사랑’
 4. 낭만적 아이러니와 예정된 실패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葉蕾蕾 엽뢰뢰. 이화여자대학교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