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가 간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서비스산업의 상호 연관구조

원문정보

The Interrelated Structure of Service Industry with 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

임상수, 이종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rying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economic effects of service industry using 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 In contrast to the Input-output table, which incl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s and outputs by industry in a country, the 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 cont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inputs and outputs by industry for 64 countries. So the 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 make the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economic effects by industry possible.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ly, while the proportion of China’s input in the world service industry is increasing, the propor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decreasing and that of Korea is flat. Secondly, The input of services for service production is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irdly, In the case of inputs used for domestic service production, the portion of domestic input is falling while the portion of Chinese input is soaring. Fourth, the proportion of inputs for domestic service production was higher in the service industry tha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ile the share of the input of Korea for domestic service production plummeted, while the share of the US, China, India and Germany increased. Fifth, the export of Korean service industry to overseas is increasing, and the proportion of exports to China is rapidly increasing. Sixth,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of the service industry in Korea is increasing, specially the domestic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s high enough to reach 5th place in 2011. Seventh, the effect of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f the service industry in Korea is largest in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e backward linkage effect is the largest in Vietnam and the backward linkage effects of Cambodia, Philippines, Taiwan, Indonesia and Saudi Arabia are increasing. Eighth, the forward linkage effect of the service industry in Korea has increased while the backward linkage effect has decreased. In sum, the domestic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f the service industry is increasing and exports to overseas are also increasing, so there is a need to enhance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service industry. However, since the export of the service industry is concentrated in Chin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t is necessary to solve this problem. Therefore, diversification of exports to Southeast Asia and the Middle East such as Cambodia, the Philippines, Indonesia and Saudi Arabia, which have a strong backward linkage effect of the Korean service industry, is needed.

한국어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의 상호 연관구조를 국가 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분석한다. 산업연관표가 한 국가의 산업 간 투입 및 산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과 달리 국가 간 산업연관표는 64개국의 산업 간 투입 및 산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국가 간 산업연관표는 특정 산업의 국가 간 투입과 산출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적인 상호 연관구조를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 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한국의 서비스산업이 전 세계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와 함께 타국의 서비스산업이 한국의 서비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살펴본다. 분석 결과는 여덟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세계 서비스산업 중 중국의 투입 비중은 상승하고 있는 반면 미국과 일본은 감소하고 있으며 한국은 소폭 상승하고 있다. 둘째, 서비스 생산을 위한 투입재는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소폭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국산이 가장 크며 한국산의 비중은 정체하고 있다. 셋째, 국내 서비스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투입재의 경우 국산 비중은 하락하는 반면 중국산 비중은 급등하고 있다. 넷째, 국내 서비스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투입재 역시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서비스 투입재의 국산 비중은 급락하고 있는 반면 미국, 중국, 인도, 독일 비중은 상승했다. 다섯째, 한국 서비스산업의 해외로의 수출은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에 대한 수출 비중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또한 한국 서비스산업에서 서비스산업 부문으로의 수출은 미국, 일본, 싱가포르, 사우디아라비아이며 일본의 비중은 급락한 반면 중국의 비중은 급등했다. 여섯째, 한국 서비스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생산유발계수는 2011년 기준 5위를 기록할 정도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한국 서비스산업의 해외 생산유발계수의 증가 속도는 국내 생산유발계수의 증가 속도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한국 서비스산업의 생산유발효과의 국가별 전방연쇄효과는 중국, 일본, 미국이 가장 크며, 후방연쇄효과는 베트남이 가장 크고, 베트남, 싱가포르, 홍콩, 말레이시아의 후방연쇄효과는 감소하는 반면 캄보디아, 필리핀, 대만,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의 후방연쇄 효과는 증가하고 있다. 여덟째, 한국 서비스산업의 산업별 전방연쇄효과는 증가한 반면 후방연쇄효과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서비스산업의 국내 생산유발효과는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로의 수출 역시 증가하고 있으므로 서비스산업의 수출 경쟁력을 제고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서비스산업 수출은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중국, 미국, 일본에 대한 편중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 서비스산업의 후방연쇄효과가 큰 캄보디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동남아시아와 중동지역으로의 수출 다변화 전략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검토
  1. 선행연구 검토
  2. 연구방법론 검토
 III. 분석 결과
  1. 국제 서비스산업 분업 구조
  2. 한국 서비스산업 분업 구조
  3. 서비스산업 상호 연관구조 분석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상수 Sangsoo Lim. 조선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
  • 이종하 Jong Ha Lee. 조선대학교 무역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