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소기업정보화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f College Students to Depression : Testing the Mediation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최재광, 송원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depression by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and to well being to improve the positive life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is conducted on 238 college students who are influenced by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tolerance of Uncertainty,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and Depression. This study analyzed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sub-component of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a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IUS), an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Questionnaire-R(USAQ-R), and a depression scale (CES-D) and verified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of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Final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한국어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을 검증하여 대학생들의 긍정적인 생활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부과적 완벽 주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무조건적 자기수용,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23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이에 다차원적 완벽주의척도(MPS)의 하위요소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IUS),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USAQ-R), 우울 척도(CES-D)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여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우울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무조건적 자기수용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구조방정식 검증을 통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무조건적 자기 수용이 완전매개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시사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측정도구
  2.3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3.2 측정 모형 검증
  3.3 구조 모형 검증
  3.4 매개효과 검증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재광 Jea-Gwang Choi. 건양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송원영 Wonyoung Song. 건양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