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소기업정보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유현아, 송원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on depression for College students as a mediator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of 343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central area of Korea, a measure of CNS, BDI, TMMS, AEQ-K.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the variables had meaningful positive of negative correlations. Secondly, When Covert Narcissism affects Depression,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full mediated. Third, the indirect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depression were relevanc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우울척도(BDI), 특질-상위 기분 척도 (TMMS),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정서인식 명확 성과 부적 상관을, 정서표현 양가성,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를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 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이 우울해 하는데 있어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 애성향의 대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상담 개입방법과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방법
  2.1 연구대상
  2.2 측정도구
  2.3 분석방법
 3. 결과
  3.1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3.2 측정 모형 검증
  3.3 구조 모형 검증
  3.4 매개효과 검증
 4.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유현아 Hyeon-A Yu. 건양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송원영 Wonyoung Song. 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