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analyzed whether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s standards statements reflect the direction of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objectivity of analysis, 128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were analyzed based on content - centered statements, activity - centered statements, and performance - centered statements by Seo Young - jin 's (201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2015 revisio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do not contain enough information to expand the mathematical competence of students. To complement this, the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should include more elements than ‘content + function’, and other criteria should be developed to clearly communicate the meaning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A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expression of ‘function’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order to improve the expression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진술 방식이 학생들의 수학적 역량을 신장시키기에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의 객관성을 위하여 128개의 성취기준을 서영진(2013)의 내용 성취기준 진술 방식 분류 기준을 이용한 틀을 바탕으로 내용 중심 진술, 활동 중심 진술, 수행 능력 중심 진술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은 학생들의 수학적 역량을 신장시키기에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의 보완을 위해 성취기준에 ‘내용+기능’보다 더 다양한 요소를 담아야하며, 성취기준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는 다른 기준들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향후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방식 개선을 위하여 성취기준에서 ‘기능’의 표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구성 요소
2. 한국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의 변화
3. 성취기준 진술 방식
4. 성취기준 분석 기준
5. 선행 연구
Ⅲ. 연구 대상
Ⅳ. 연구 절차
1. 성취기준 번호
2. 분석기준 정립
3. 복합 성취기준의 분해
4. 성취기준 진술 방식 분석
Ⅴ. 분석 및 논의
1. 성취기준 진술 방식 분석
2. 성취기준 진술 방식 논의
3. 수학 교과 특성을 반영한 성취기준 제시 방안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