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o-occurrence patterns of Korean and Japanese adverbs expressing speculation

원문정보

Jang Kun Soo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which expression of a sentence-end Korean and Japanese adverbs for expressing speculation have a co-occurrence relationship and what the difference is. The objects of analysis are Japanese adverbs ‘tabun’, ‘douyara, and ‘moshikasuruto’, and the corresponding Korean adverbs ‘ama(do) (probably)’, ‘amuraedo(seems like・anyway)’, and ‘eojjeomyeon(maybe)’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dverb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Japanese adverbs are characterized by a remarkable co-occurrence with the semantic categories of sentence-end forms such as ‘conjecture’ indicated by ‘darou’, ‘evidentiality’ indicated by ‘youda/rashii/-shisouda’, and ‘possibility’ indicated by ‘kamoshirenai’. They have a strong co-occurrence with a particular form while having an inconsistent relationship with other forms. In that sense, it can be said that co-occurrences according to adverbs have ‘complementary’ relationships. Korean adverbs also have a strong co-occurrence with a particular form. However, they have a relatively low co-occurrence compared to Japanese adverbs, and instead have a strong co-occurrence with allegorical expression. Moreover, they don’t have as much remarkable co-occurrence with semantic categories such as ‘surmise’, ‘evidentiality’ and ‘possibility’ as Japanese adverbs, but they have a ‘continuous’ relationship to each other. This means that they represent the difference in probability that the situation is realized in the broad sense of ‘speculation’.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추측을 나타내는 한국어와 일본어 부사를 대상으로 문말의 어떠한 표현과 공기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차이점은 무엇인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의 대상으로 한 부사는 일본어의 ‘たぶん’, ‘どうやら’, ‘もしかすると’와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아마(도)’, ‘아무래도’, ‘어쩌면’이다. 분석을 통해 도출한 한일 부사어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본어의 부사는 ‘ダロウ’가 나타내는 ‘추량’, ‘ヨウダ/ラシイ/シソウダ’가 나타내는 ‘증거성’, ‘カモシレナイ’가 나타내는 ‘가능성’이라는 문말형식의 의미범주에 따른 공기 양상이 두드러진다는 특징이 있다. 특정 형식과의 공기가 강하고 타 형식과의 공기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부사에 따른 공기 양상이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한국어의 부사도 특정 형식과의 공기관계가 현저하게 나타나지만, 일본어의 부사에 비해 그 정도가 낮고, 우언적 표현과 공기하는 비율이 높다. 일본어 부사에 비해 ‘추량’, ‘증거성’, ‘가능성’이라는 의미범주와의 공기 양상이 두드러지지 않고 서로 ‘연속적’인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넓은 의미의 ‘추측’이라는 점에서 사태가 실현되는 개연성의 차이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Adverbs’ co-occurrence pattern and sentence-end form categorization
 4. Co-occurrence pattern of Korean and Japanese adverbs
  4.1 Co-occurrence pattern of ‘たぶん (tabun)’ and ‘아마도 (amado)’
  4.2 Co-occurrence pattern of ‘どうやら (douyara)’ and ‘아무래도 (amuraedo)’
  4.3 Co-occurrence pattern of ‘もしかすると (moshikasuruto)’ and ‘어쩌면(eojjeomyeon)’
  4.4 Co-occurrence patterns with periphrastic expressions
 5. Conclusion
 참고문헌
 <요지>

저자정보

  • Jang Kun Soo 장근수. Professor of Korea Japan Cultural Contents (KJCC), Sangmyung University, Japanese Linguistics/Japanese Education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