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진핑ㆍ김정은 체제를 중심으로 북중관계 진단 및 전망

원문정보

Diagnosis and prospect of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centered on Xi Jinping and Kim Jung Un system

문성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very meaningful and important to diagnose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centered on North Korea's Kim Jung Un, chairman of the D. P. R. K(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who is not concerned about the eating and living of the North Korean people, but who is in a frenzy of maintaining the unstable regime due to the hereditary succession and China's Xi Jinping announcing the construction of a first-rate advanced socialist country power surpassing the US by 2050 and Xiaokang Society by 2020. There are several major theories in the research of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In other words, it is a theory of change that shifts away from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al cooperation relationship aiming at the Blood brotherhood and the Buffer zone theory, and transforms it into the general state relationship or the strategic cooperation relationship. The future direction of China's North Korea policy : First, policy approaches to North Korea and diversification of thinking are expected. Second, North Korea policy will be pursued in accordance with the core interests of the state. Third, China will overcome the dilemma of the North Korean alliance and pursue North Korea policy. Prospecting North Korea's policy toward China : First, North Korea will demand China's status as a nuclear power. Second, they will pursue a Self-regeneration. Third, they will demand strategic cooperation by crisis strategy. We must look at the solution to North Korea's nuclear armament in a complex and long-term way through confront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s well as China and the United States or the other countries. Clearly, rather than looking at the North Korea-China relations as an existing alliance and seeing it as a static one, it is understood that North Korea and China are in a relationship of conflict and cooperation according to their strategic interes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promote North Korea, China policy too.

한국어

북한 주민의 먹고 사는 문제보다는 오로지 정권의 3대 세습으로 인한 불안정한 정권의 유지를 위해 공포정치를 자행하고 오로지 핵 및 미사일 개발에 광분하고 있는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과 2022년까지 샤오캉(小康) 사회, 2050년까지 미국을 뛰어넘는 일류 선진 사회주의 강대국을 건 설하겠다는 중국의 시진핑 주석을 중심으로 북중관계를 진단 및 전망 해 보는 것은 매우 의의가 있고 무엇보다 중요한 관점이라고 생각된다. 북중관계에 대한 연구에는 주요한 몇 가지 이론이 있다. 즉, 혈맹관계론과 완충지대론을 지향 하는 전통적인 협력관계의 지속론과 전통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일반적인 국가 관계나 전략적 협 력관계로 전환하는 변화론이다. 향후 중국의 대북정책의 방향은 첫째, 대북 정책 접근 및 사고의 다변화가 예상된다. 둘째, 국가 핵심 이익에 따라 대북정책을 추진할 것이다. 셋째, 북중동맹의 딜레마를 극복해 나가면서 대북정책을 추진할 것이다. 또한 북한의 대중국 정책 방향을 전망해 보면 첫째, 북한은 중국에 핵보유국 지위를 요구할 것이다. 둘째, 자강력 제일주의 추구를 할 것이다. 셋째, 위기조성 전략으로 전략적 협력관계를 요구할 것이다. 우리는 북한의 핵무장에 대한 해법을 남북한은 물론 중국, 미국 등 전 세계 국가 들의 대립과 협력관계를 통해서 복합적이고 장기적으로 바라봐야 한다. 분명한 것은 북중관계를 기존의 동맹관계로 이해하여 정적(static)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북중간에 사안별 전략적 이해 관 계에 따라 갈등과 협력을 하는 관계로 이해하고 대북, 대중국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해 갈 필요 가 있다고 본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북중관계 이론적 논의
 Ⅲ. 중국의 대북정책 전망
 Ⅳ. 북한의 대중국정책 변화와 전망
 Ⅴ. 결론 : 북중관계에 대한 함의 및 전망
 참고문헌
 

저자정보

  • 문성준 Moon Sung Joon. 조선대학교 대학원 군사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