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교회 설교의 상징어 사용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sage of the Symbolic Word of Sermon in Korean Church

조재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concerned on analysing the task of the sermon theology in Korean church from the religious cultural point of view for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a sermon theology. Especially, this research is aimed on three analysis, for the sake of surveying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formed the unique linguistic sociality in the process of accepting Chinese character on the Korean linguistic cultural point of view and the and the symbolic point of view in sermon language, and of analys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sermon language, and of analysing what influence has been exerted on ministry and sermon by symbolic function of the sermon language in terms of ministry and sermon of Yong-gi Cho, Korean church minister. Finally, analysing what Cho's favorite sermon words on his message have a symbolic function, I tri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the function of sermon language. First, Korean as a sermon language has a characteristic conception built in Korean culture, and has been transcended, as a result of that, Korean language has been admitted in the concept of Korea. In spite of that, As Korean Language lost the intrinsic meaning in great, differing from Japanese, it has many difficulties to explain and demonstrate the faith from experience and spiritual faith shown in the Korean church history. Therefore, the sermon of Korean church seems to appeal to the intuitive appreciation and impression, explaining the bible and personal religious experience and using the symbolic language method to express the keywords rather than systematic theolog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bible and faith. Secondly, the Korean representative preacher, Yong-gi Cho's sermon is centered on building powerful mutual response between preacher and hearer, and his message is emphasized on conveying powerfully and simply at a maximum , and pointing to achievement for the mercy of God and common-pray. From this point of view, his preach is to be the archetype of motherly Holy Spirit movement. Thirdly, his message provides religious imagination of congregation with affluent meaning in terms of the symbolic word-using method in order to express the life-site and the faith of experience. It is thought to add biblical interpretation to the emblem, called "MANA", common need of the Korean masses, overcoming the margin of Korean language as a preach-language on the basis of his personal experience. Being blamed for shamanism, ministry Yong-gi Cho's preaching word is to b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hurch sermon and the appropriate method to express the faith of experience in Korean church. However his preaching method is repeating key words providing symbolic and throughout- meaning rather than analytic and delicate meaning preaching method.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설교신학의 확립을 위하여 한국교회 설교신학의 과제를 종교문화적인 측면에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한국어의 언어문화적인 측면과 설교언어의 상징적 측면에서 탐구하기 위하여 먼저 한자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독특한 언어의 사회성을 형성하게 한국어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설교언어의 성격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설교언어의 상징적 기능이 목회와 설교에 어떤 영향을 주어왔는가를 조용기 목사의 목회와 설교를 통하여 분석하여 보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용기 목사가 그의 설교에서 즐겨 사용하는 설교언어들이 어떤 상징적 기능을 가지고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설교언어의 상징적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탐구하려고 하였다. 한국교회의 설교언어를 상징어로 규정하고, 설교언어의 분석에 종교문화의 해석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조용기 목사를 비롯한 대부분의 한국교회 설교자들의 설교가 고도의 신학적인 논거를 지닌 본문설교나 교리 설교라기보다는 성서의 주제들을 한국의 문화나 교회의 사정과 청중들의 삶의 정황에 적용하여 메시지를 단순하고 명료하게 전달하는 이야기설교라고 보기 때문이다. 더구나 한국어의 신앙언어는 대부분 한자어이기 때문에 신앙을 표현하는 용어로 쓰이기 이전에 이미 독특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언어사용의 용례를 따라 면밀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로 설교언어로서의 한국어는 한국문화에서 형성된 독특한 개념을 가지고 전승되면서 한국인의 관념을 담지하게 되었으나 한자의 수용과정에서 일본어와는 달리 본래의 개념을 많이 상실하게 되었기 때문에 한국교회사에 나타나는 체험적 신앙과 영성적 신앙을 설명하고 변증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한국교회 설교는 성서와 신앙에 관한 조직신학적인 분석과 해석 보다는 말씀과 신앙체험을 설명하고 주제어들을 상징어법으로 사용하여 직관적 이해와 감동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나가게 되었다고 보여 진다. 둘째로 한국교회의 대표적 설교가인 조용기 목사의 설교는 강단의 설교자와 듣는 청중 사이에서 강한 교감이 일어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고, 그의 메시지는 최대한 강력하고 단순하게 전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은혜와 중보기도의 성취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모성적 성령운동의 전형으로 볼 수 있다. 셋째로 한국인의 삶의 자리와 체험적 신앙을 표현하기 위하여 설교언어를 상징어적 어법으로 사용함으로서 청중들의 신앙적 상상력에 풍부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는 설교언어로서의 한국어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그의 개인적 체험에 바탕을 두면서도 한국 서민대중의 공통된 종교적 니드인 “마나”라는 표상에 성서적 해석을 첨가한 것으로 보여 진다. 조용기 목사의 설교에 자주 나타나는 주제어들이 무속적 의미를 담지하고 있다는 비난에도 불구하고, 한국교회의 독특한 신앙을 해석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언어의 분석적이고 정교한 사용 보다는 상징적이고 통전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같은 말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어법은 한국교회 설교의 특징으로 볼 수 있으며 한국교회의 체험적 신앙을 표현하는 적절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목차

초 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언어의 개념형성과 상징
  1. 언어개념과 사회성
  2. 상징과 언어
  3. 한자수용과 설교언어
 Ⅲ. 설교언어의 상징적 기능
  1. 조용기 목사의 신앙과 목회
  2. 조용기 목사 설교의 특징
 Ⅳ. 조용기 목사 설교의 상징적 기능
 Ⅴ. 나가는 말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재국 Jakook Cho. 연세대학교 교수, 실천신학/종교와 문화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