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들’의 분포와 의미 기능에 대한 통시적 고찰

원문정보

A Diachronic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the Semantic Functions of Deul

서근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diachronic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the semantic functions of deul. In the case where deul is a suffix, it attaches to a preceding noun, while being a bound noun or a particle (‘bojosa’) it attaches to a preceding noun phrase. Since the Middle Korean, there has been a separate morpheme for a suffix deul and a bound noun deul respectively. In the Modern Korean, due to their distributional expansion and changes in semantic function, those separate morphemes have begun to be used as a particle (‘bojosa’). Deul developed to be attached to adverbs, connective endings, case marker (‘josa’), bound nouns, and noun clauses, quotative clauses. It is worth noting that the types of particles and connective endings to which deul attaches become diverse from the Middle Korean to the Contemporary Korean. Likewise, the usage of the particle (‘bojosa’) deul has been widely extended. The suffix deul and the bound noun deul indicate plurality of the preceding elements while the particle (‘bojosa’) deul indicates plurality of participants. Moreover, the particle (‘bojosa’) deul can be also interpreted to denote the plurality of the events. However, considering an entailment relation between plurality of participants and plurality of events, it is more appropriate to explain the semantic function of deul as indicating plurality of participants. Meanwhile, there are some cases revealing a change in the semantic functions of deul. The cases can be explained by assuming that there is an inconsistency between the distribution and semantic functions of deul, or that the particle (‘bojosa’) deul incorporates both the plurality of a preceding element and the plurality of participants. This is a transitional aspect displaying the change in semantic functions of deul.

한국어

본고는 통시적인 관점에서 ‘들’의 분포와 의미 기능을 고찰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들’이 접미사인 경우는 명사인 선행 성분에 통합되며, 의존명사와 보조사는 명사구인 선행 성분에 통합된다. 중세국어 119시기부터 접미사 ‘-ᄃᆞᆶ’과 의존명사 ‘ᄃᆞᆶ’은 별개의 형태소로 존재하였다. 접미사 ‘-ᄃᆞᆶ’과 의존명사 ‘ᄃᆞᆶ’은 근대국어 시기에 이르러 그 분포의 확대와 의미 기능의 변화로 인해 보조사로서의 본격적인 쓰임을 보이기 시작한다. 보조사 ‘들’은 부사, 연결어미, 조사, 의존명사, 명사절, 인용절에 결합하게 된다. 중세국어 시기부터 현대국어 시기에 이를수록 ‘들’과 결합하는 조사와 연결어미의 종류도 다양해진다. 따라서 보조사 ‘들’의 쓰임이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접미사 ‘-들’과 의존명사 ‘들’은 선행 요소의 복수성을 나타내고, 보조사 ‘들’은 행위참여자의 복수성을 나타낸다. 특히 보조사 ‘들’의 경우 사건의 복수성으로도 해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행위참여자의 복수성과 사건의 복수성의 함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 ‘들’의 의미 기능은 행위참여자의 복수성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한편 ‘들’의 의미 기능의 변화를 보여주는 예가 확인된다. 이러한 예는 ‘들’의 분포와 의미 기능이 불일치하다고 보거나, 또는 보조사 ‘들’의 의미 기능이 선행 요소의 복수성과 행위참여자의 복수성 모두를 가지고 있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들’의 의미 기능의 변화를 보여주는 과도기적 양상이다.

목차

요약
 1. 서론
 2. ‘들’의 분포와 그 변화
 3. ‘들’의 의미 기능과 그 변화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근화 Seo, Geunhwa.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